logo
자유주제

"낙폭과대 성장주 강세지만..외인 자금이탈 대비해야"

울트라맨8

Lv 116

22.08.01

view_cnt

936

최근 낙폭 과대 성장주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유동성이 풀리는 시기의 ‘대세상승’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왔다. 연초 이후 조정을 받은 업종들의 순환매장인 만큼, 외국인 자금 이탈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얘기다. 1일 나정환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미 10년물 국채 금리가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인터넷 등 낙폭 과대 성장주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이는 해당 종목들이 낙폭이 과대했던 점도 있지만, 7월 FOMC 이후 가격에 대한 부담이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미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발표된 이후 미국 기준금리에 대한 불확실성이 낮아지고 있다”면서 “미국 경제가 기술적으로 침체기에 돌입하면서 미 연준이 향후에 75bp(1bp=0.01%포인트) 인상 등 강도 높은 긴축을 이행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 실제 미국 기준금리의 연말 값이 3.25~3.5% 사이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커지고 부진한 미국 경제 지표가 발표되면서 미 10년물 금리의 하락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과거 블룸버그에서 집계하는 경기 침체 확률이 높아지는 구간에 미 10년물 금리는 대체로 하락한 바 있다. 이는 주식 가격의 부담을 낮춰주는 요인으로 작용했고, 낙폭 과대 성장주에 우호적인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나 연구원은 “이에 따라 연초 이후 미 연준의 급격한 긴축 정책으로 조정을 크게 받았던 성장주가 반등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는 유동성이 풀리는 성장주의 대세 상승기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연초 이후 조정을 받은 업종의 비중을 높이는 등 순환매장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보통신(IT)소프트웨어 외에 낙폭과대 업종은 화장품, 의류와 헬스케어 업종이 있다고 조언했다. 나 연구원은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낮아지고 애플,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의 2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나쁘지 않게 나오는 등 증시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국내 증시 흐름 역시 양호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면서도 “리스크 요인은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바로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중단으로 인한 유럽의 에너지 위기 가능성이다.
'낙폭과대 성장주 강세지만..외인 자금이탈 대비해야'

'낙폭과대 성장주 강세지만..외인 자금이탈 대비해야'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기업분할로 자본금 줄었던 DL이앤씨, 시평 '8위→3위' 재진입

지난해 기업 분할로 시공능력평가(시평) 8위로 밀려났던 DL이앤씨가 올해 '톱3'에 재진입했다. 삼성물산은 9년째 '시평 1위'를 지켰고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롯데건설, HDC현대산업개발은 한 계단씩 내려갔다. GS건설은 두 계단 떨어졌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31일 전국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평가한 '2022년도 시공능력평가' 결과를 공시했다. 시공능력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8
22.08.01
자유주제

美, 日과 반도체 동맹 강화..'中 견제 본격화'

미국의 대중 견제가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현지 시각 31일,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인도 태평양 지역 순방에 나섰습니다. 펠로시 의장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한국, 일본을 방문할 예정입니다. 홈페이지를 통해 이번 순방에서 평화 안보, 경제성장과 교역, 코로나19, 기후 위기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최근 미중간 뜨거운 쟁점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24
22.08.01
자유주제

외국인 자금 신흥국 탈출 가속.."월평균 10조원씩 빠졌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강력한 금리인상을 통해 기준금리인 연방기금(FF) 금리 목표치를 2.25~2.50%로 끌어올려 캐리트레이드 매력이 사라진데다 전세계 경기침체 우려가 안전자산 선호를 높이면서 외국인들은 5개월 연속 순이탈을 기록해 사상 최장의 유출 흐름을 보였다. FT에 따르면 3~7월 신흥국 주식과 채권에서 빠져나간 외국인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2
22.08.01
자유주제

월스트리트저널 "美 경제,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시 실업률 상승 불가피"

국제금융센터가 뽑은 핫이슈를 확인해보는 시간입니다. 미국의 7월 고용보고서가 오는 5일 공개됩니다. 외신들은 신규 고용이 25만 건 수준으로, 전월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 실업률은 3.6%로 6월과 동일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만약 예상처럼 고용이 큰폭으로 축소되면 통화긴축에 따른 영향이 고용 둔화를 유도하고, 경기침체 우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6
22.08.01
자유주제

비트코인, 서머랠리 후 주춤 ..다시 3000만원대로

미국 금리인상 발표 후 안도랠리를 이어갔던 비트코인이 지난 주말 동안 6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뒤 숨 고르기를 하고 있다. 비트코인을 포함한 코인시장은 오는 5일(현지시간) 발표될 7월 미국 고용지표를 앞두고 관망심리가 짙어진 것으로 보인다. 1일 오전 8시55분 기준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에서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1.62% 내린 3074만5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0
22.08.01
자유주제

원숭이두창 확진자 2만명 돌파.."풍토병 될 것"

원숭이두창 환자가 전세계적으로 2만명을 넘어섰다. 확진자 규모는 17일만에 두배가 됐다. 1일 국제 통계사이트 아워월드인데이터(ourworldindata)에 따르면 전세계 원숭이두창 확진자는 지난달 27일 2만명을 넘어선 뒤 28일 현재 2만1067명을 기록 중이다. 원숭이두창은 지난달 6일 아프리카가 아닌 비풍토병 지역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83일 만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8
22.08.01
자유주제

'화석연료 기업'에 보낸 기후변화 피해 고지서

국제 비영리기관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자료를 보면, 1988~2015년 세계 100개 기업이 배출한 온실가스는 전세계 산업 온실가스 배출량의 70.6%를 차지했다. 화석연료의 생산, 공급과 이용 과정까지 합산했을 때 수치다. 그런데도 우리는 기업에 역사적 책임을 물리지 않아 왔다. 정부에만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정밀한 ‘게임의 룰’을 만들고 엄격한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2
22.08.01
자유주제

원가상승이 부른 운명… 부품·타이어 ‘울상’, 현대차 역대급 실적

자동차 산업을 강타하고 있는 차량용 반도체 부족과 원자재 가격 급등이 부품기업, 완성차 업체에 엇갈린 운명을 만들고 있다. 부품업체 10곳 중 3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낼 형편이다. 반면 완성차 업체는 역대급 실적을 거뒀다. 31일 한국자동차연구원에서 발표한 ‘자동차 부품기업 2021년 경영성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기업 1296곳의 지

GoFoward|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0
22.08.01
자유주제

한국 아이 61명과 태아의 헌법소원 "미래세대 기본권 침해마세요"

딱따구리 외 61명. 탄소중립기본법 시행령이 미래세대의 기본권을 침해한다며 6월13일 헌법소원을 낸 청구인들이다. 이 시행령에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40% 감축)가 규정돼 있는데, 이 목표치가 미흡한 수준이어서 생명권 등 미래세대의 기본권을 보호하기에 충분치 않다는 취지다. 5살 이하 아기 40명

울트라맨8|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3
22.08.01
자유주제

국내 배터리 3사, 잇따른 전기차 화재 사고에 전고체 배터리 생산 추진

최근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는 국내 업체 간의 경쟁이 나날이 치열해지고 있다. 최근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면서, 3사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상대적으로 충격과 화재에 강한 전고체 배터리 생산에 박차를 가하는 분위기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3사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은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업은 물론

GoFoward|22.08.0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29
22.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