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美 "핵억제 협상 중국도 참여해야"

울트라맨8

Lv 116

22.08.02

view_cnt

686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도 핵무기 억제 협상에 참여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 2026년 만료되는 미국과 러시아의 신전략무기감축협정(뉴스타트 협정)을 대체할 새로운 핵무기 억제 틀을 제안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개막한 제10차 핵확산금지조약(NPT) 평가회의에서 성명을 통해 "중국은 핵무기를 보유한 NPT 가입국이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P5) 일원으로서 오판 위험을 줄이고 불안정한 군사 역학관계 해결을 위한 대화에 참여할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작년부터 신장웨이우얼 지역에 200여 개 핵미사일 격납고를 건설하는 등 핵전력 증강에 힘써왔다. NPT는 유엔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이 자발적으로 핵무기를 줄이고 나머지 국가들의 핵무기 보유를 금지하기 위해 1969년 체결한 조약이다. 이후 5년마다 평가회의를 통해 핵 감축 이행 상황을 점검하는 가운데 2020년 열릴 예정이던 회의가 코로나19 대유행 탓에 연기돼 이날 개최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를 향해 "뉴스타트 협정을 대체할 신규 무기통제 프레임워크를 신속히 협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뉴스타트 협정은 미국과 러시아가 실전 배치된 핵탄두 수를 1550개 이하로 제한하자고 2010년 체결한 약속이다. 미국은 보유 핵무기 역할과 관련해 미국·동맹국·파트너 국가에 대한 핵공격 억제라고 규정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NPT 평가회의 연설에서 "미국과 동맹국들의 중요한 이익을 지키기 위한 극단적인 상황에서만 핵무기 사용을 고려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또 그는 "북한이 7차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다"며 "북한은 불법적인 핵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역내에서 도발을 계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NPT에 보낸 서한에서 "핵전쟁에 승자는 있을 수 없고 그런 전쟁은 절대 시작돼선 안된다"며 러시아 역시 핵감축 협정을 완전히 이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美 '핵억제 협상 중국도 참여해야'

美 '핵억제 협상 중국도 참여해야'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에드윈 퓰너 "한국은 美 인태 전략의 열쇠..대만과도 파트너십 확대해야"

“한국과 미국의 실용적인 파트너십이 인도태평양 지역 개발도상국들 사이에서 또 다른 모범 사례를 만들고 이 지역의 다자간 경제협력 효율성을 높일 것입니다.” 에드윈 퓰너 헤리티지재단 아시아연구센터 회장이 2일 서울경제와의 창간 특별 인터뷰에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의 열쇠는 한국”이라고 단언하며 한미 동맹의 역할 확대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미국을 대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3
22.08.02
자유주제

고용 등 6대 지표 보니.."美경기 아직 침체 아냐"

미국 경제가 아직 침체에 빠지지 않았다는 진단이 나왔다. 고용, 소득, 산업 생산 등 침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주요 지표들이 서로 엇갈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의 경기 침체 여부를 공식 결정하는 민간기관인 미국경제연구소(NBER)가 참고하는 6대 지표를 분석한 결과 미국이 경기 침체에 빠지지 않았다고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의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5
22.08.02
자유주제

사상 첫 '빅스텝' 단행한 금통위.. "물가상승, 자본유출 우려한 결정"

우리나라 금융통화위원회 위원들이 한번에 기준금리를 0.50%포인트(p)를 인상하는 '빅스텝'을 사상 처음으로 단행한 지난달 13일 회의에서 한·미 기준금리 격차 확대에 대한 우려를 쏟아냈다. 2일 한은 홈페이지에 공개된 '2022년도 제13차 금융통화위원회(정기) 의사록'을 보면, 금통위 의장으로서 처음 참석한 이창용 한은 총재를 제외한 5명의 금통위원들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81
22.08.02
자유주제

서학개미도 짐 쌌다.. 대기성 자금 한달새 4조 감소

글로벌 증시 위축 속에 서학개미(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들이 시장에서 이탈하고 있다. 지난달 외화주식 결제금액은 1년 9개월 만에 200억 달러 밑으로 내려왔다. 투자자들은 3년 만에 처음으로 미국 주식을 순매도했다. 증시 대기성 자금은 한 달 새 4조원 이상 빠져나갔다. 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투자자의 외화주식 결제금액은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82
22.08.02
자유주제

SM6(탈리스만) 웨건, 파사트 웨건

탈리스만 웨건은 어떠신가요?? 유럽 와서 웨건을 쭉 보니 왜 유럽사람들이 웨건을 선호하는지 알겠네요. 세단이 오히려 세컨카로 운용되는듯 합니다. 여러나라가 연결되어 있고 한국보다 평균적으로 긴 휴가(1~2주) 여행을 떠날 때 그 짐을 다 실으려면 웨건만한 실용적인 차가 없네요.

thumbnail
썸씽wrong|22.08.02
like-count4
commnet-count6
view-count1,363
22.08.02
자유주제

시중은행 줄어드는데..대출 덩치 키우는 인터넷뱅크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을 줄이고 있는 가운데, 인터넷뱅크의 대출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적인 대출 영업으로 소비자들을 끌어모은 것이다. 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7월 말 기준 여신규모는 36조1104억원으로 직전월과 비교해 5641억원이 늘었다. 지난해말과 비교해서는 3조1590억원, 9.5%가 증가했다. 7월 계수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3
22.08.02
자유주제

축구장 수십배 S3라인서 3나노 양산.."파운드리 게임체인저 될것"

세계 최초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기반 3㎚(나노미터·10억분의 1m) 반도체 공정 양산품 출하식이 열린 지난달 25일 삼성전자(005930) 화성 공장. 반바지, 라운드 티셔츠 등 자율 복장 차림을 한 수많은 직원들의 모습이 전통적인 생산 시설보다는 대학 캠퍼스와 더 비슷한 인상을 줬다. 차세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산업에서 대만 TSMC를 따라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88
22.08.02
자유주제

여가문화 바뀌었다..거리두기 완화도 못살린 PC방‧노래방

#서울 서초구에서 노래방을 운영해온 이모(56)씨는 폐업을 준비하고 있다. 최근엔 그간 외상을 달아놓고 돈을 주지 않고 있던 사람들에게 돈 받으러 다니는 게 일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기간도 견뎠지만, 끝내 업종 변경을 고민 중이다. 이씨는 “코로나19만 끝나면, 거리두기만 풀리면 괜찮아지겠지 하는 마음으로 버텼는데 현실은 달랐다”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72
22.08.02
자유주제

외환위기 수준 '고물가 쓰나미'.. 10월 정점 찍고 꺾일까

물가 상승률이 그야말로 파죽지세로 치솟고 있다. 달러당 900원대이던 환율이 1800원대가 되며 수입물가가 치솟았던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 당시 경험한 6~8%대 물가 상승률에 버금가는 수준에 도달했다. 기름값, 밥상물가, 외식비, 공공요금, 주거비까지 안 오른 게 없을 정도다. 그럼에도 정부는 “상승 폭이 축소됐다. 9~10월에 정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32
22.08.02
자유주제

전세계 車배터리 압도하는 中..韓안방도 위협

중국이 '제2의 반도체'라 불리는 배터리 시장에서 한국과 격차를 계속 벌리고 있다. CATL을 필두로 한 중국 배터리 업체들은 자국을 제외한 전 세계 시장에서도 20%에 육박하는 시장점유율을 달성했다. 최근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중저가 전기차 라인업을 중심으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채택을 확대하고 있어 'K배터리'의 아성에 큰 위협이 될 전망이다.

울트라맨8|22.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7
2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