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대전현충원에 단 2곳뿐인 민간 묘지.. 어떤 사연일까

울트라맨8

Lv 116

22.08.03

view_cnt

878

"국립대전현충원에는 사설묘지가 있을까?" 대전현충원은 국립묘지다. 국립묘지에는 사설 묘를 둘 수 없는 게 원칙이다. 하지만 그런 원칙과는 관계없이 국립묘지가 조성되기 전 이 땅에 먼저 묻힌 사람들이 있다. 대부분은 이장했지만 묘역 조성에 크게 문제되지 않아 이장하지 않은 묘지가 2기가 있다. 연안 이씨(延安 李氏) 시조 이무(李茂)의 묘와 사우당(四友堂) 이시담(李時聃)의 묘다. 많은 이들이 사설 묘의 존재를 잘 알지 못한다. 이유는 사설 묘가 인적이 드문 곳에 위치해 있고, 나무에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연안 이씨의 시조 이무의 묘는 신선봉 아래, 두리봉과 장사병7묘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 이곳은 현충원에 조성된 묘역뿐 아니라 보훈둘레길과도 떨어져 있어서 종손들도 찾기 어려워한다. 둘레길 4코스에서 두리봉과 신성봉 사이 계곡이 나오는데, 이 계곡 위로 이무 장군 묘로 올라가는 길이 있다. 100여m 올라가면 되지만 평소에는 진입금지 구역이다. 이무 장군은 당나라 고종 때 중랑장을 지내다가 660년(신라 태종무열왕 7) 나당연합군 대총관 소정방(蘇定方)의 부장이 되어 신라에 들어와 백제를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연안후에 봉해졌고, 그 후 신라에 귀화하여 살게 되었다고 한다. 후손들은 시조가 하사받은 연안 땅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 원래 이무의 묘소는 이곳이 아니다. 1821년에 연안 이씨 종원 이문우(李文愚)가 시조묘를 찾기 위해 여러 수소문을 한 결과 황해도 연안부 서편 비봉산 옥녀봉 아래 은일동(隱逸洞)에서 시조묘를 찾고, 혼유석과 상석 밑에서 '연안백이무(延安伯李茂)'라고 쓰여 있는 지석을 발견했다. 하지만 이후 분단으로 인해 시조 묘를 찾아갈 수 없게 되자 1954년에 판사공파 사우당공계의 종산이 있는 당시 충남 대덕군 유성읍 갑동리에 제단 성격의 단소를 봉분을 갖춘 형태로 만들었다.
대전현충원에 단 2곳뿐인 민간 묘지.. 어떤 사연일까

대전현충원에 단 2곳뿐인 민간 묘지.. 어떤 사연일까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러시아 대법원, 마리우폴 제철소 저항 '아조우 연대' 테러 집단 지정

러시아 대법원이 2일(현지시각) 우크라이나 내무부 소속의 군사 경찰 조직 ‘아조우 연대’를 테러 집단으로 지정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보도했다. 아조우 연대는 2014년 극우 신나치 성향의 민병대로 출발해 정식 정부 조직으로 탈바꿈했으며, 지난 2월 러시아가 침공하자 동부 마리우폴 등지의 전투에서 우크라이나의 주력 병력으로 활동했다. 러시아 대법원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8
22.08.03
자유주제

폴란드 국방장관 "한국과의 방산협력은 전략적 접근"

마리우시 브와슈차크 폴란드 부총리 겸 국방장관이 한국과의 방산협력은 폴란드군의 '빈틈'을 메우는 수준이 아니라 '전략적 접근'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브와슈차크 부총리는 3일 보도된 미국의소리(VOA) 방송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최근 한국 방산기업들과 대규모 무기도입에 필요한 기본계약을 맺은 배경에 대해 "한국이 70년 간 평화를 바라면서도 전쟁에 대비해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71
22.08.03
자유주제

미·중 갈등 우려에..환율 5거래일 만에 1310원대로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인한 미·중 갈등 우려에 원·달러 환율이 다시 1310원대로 올라섰다. 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오전 9시15분 현재 전 거래일(1304.7원) 보다 8.10원 상승한 1312.8원에 거래중이다. 이날 환율은 전 거래일 보다 10.3원 오른 1315.0원에 출발했다. 장 초반부터 1315원까지 레벨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9
22.08.03
자유주제

"아직 할 일 많다"..연준, 잇달아 추가 금리 인상 시사 발언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인사들이 잇달아 매파적 발언을 내놓았다.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서는 "아직 할 일이 많다"라며 일각에서 제기되는 연준의 조기 금리 인상 종료 가능성을 일축했다.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CNBC 등에 따르면 찰스 에번스 미국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9월에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8
22.08.03
자유주제

여전한 반도체 수급난..현대차그룹 7월 미국 판매량 10.8%↓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생산 차질이 하반기까지 이어지면서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7월 판매량이 작년 동기 대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의 지난달 미국 판매량이 12만8천283대로 작년 동월 대비 10.8% 감소했다고 3일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생산 차질과 이에 따른 가용 재고 부족으로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0
22.08.03
자유주제

대만해협 긴장감 속..미일 안보당국자, 美서 회담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미중 간 긴장감이 고조된 가운데, 미일 안보당국자는 미국에서 회담을 가졌다. 3일 아사히 신문, 지지통신에 따르면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아키바 다케오(秋葉剛男) 국가안전보장국장은 2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회담을 가졌다. 특히 양 측은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고조되고 있는 대만 주변 정세에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30
22.08.03
자유주제

금융당국, 은행 명령휴가제 부서별→기능별 적용 검토

금융당국이 명령휴가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주로 은행 부서 성격에 따라 적용됐던 명령휴가 제도를 각 업무 기능별로 대상을 구체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700억원 횡령이 일어난 우리은행 기업개선부에서 인수합병(M&A) 계약금 등 기업자금이 일부 관리되는데도, 주된 업무가 '워크아웃' 등 자금 관리가 아니라는 이유로 은행의 명령휴가 대상에서 제외됐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26
22.08.03
자유주제

100실 이상 오피스텔·생활숙박시설도 '인터넷 청약' 의무화된다

이르면 올 연말부터 100실 이상의 오피스텔이나 생활숙박시설(레지던스 등)도 분양 시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을 통한 ‘인터넷 청약’이 의무화된다. 지난해 아파트보다 대출·세금 규제 등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비아파트 청약시장이 과열되자, 정부가 분양 질서 확립과 수분양자 권리 보호 차원에서 건축물에 대한 분양 제도를 아파트 수준으로 강화한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95
22.08.03
자유주제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서 4일 '장애인한바다축제' 열려

부산장애인총연합회는 4일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다대포해수욕장 해변공원 푸른 광장에서 '장애인한바다축제'가 열린다고 3일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해 2019년 이후 3년 만에 열리는 이번 행사는 장소를 광안리해수욕장에서 다대포해수욕장으로 옮겼다. 장애인·자원봉사자 등 400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개회식에서는 한바다 축제를 위해 애써 준 자원봉사자, 장애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4
22.08.03
자유주제

"내가 뭘 샀지?"..'구매 주문' 메일에 뜬 사이트 로그인했다가

정보보안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이 높아지는 것과 비례해 공격자들도 더욱 교묘해진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먼저 자문요청을 한 후 이에 긍정적인 답변을 한 이에게 악성코드를 심은 파일을 내려받도록 유도하는 등 사용자들의 방어심리를 무력화하는 시도가 확인되고 있다. 안랩(Ahnlab)은 3일 상호소통형 피싱메일, 업무요청형 피싱메일 등 정교한 수법의 피싱메일로

울트라맨8|22.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1
22.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