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고용호조' 개운치 못한 이유.."연말 둔화세 확대될 것"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862

지난달 고용률이 같은 달 기준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지만 취업자 증가 폭은 두 달째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르면 연말부터 경기 침체 우려와 함께 취업자 증가 둔화세가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기획재정부는 10일 통계청 '7월 고용동향' 발표 직후 내놓은 전망에서 올 연간 취업자 증가 폭을 60만명으로, 내년을 15만명으로 제시했다. 이 전망이 현실화한다면 내년 취업자 증가세는 올해의 4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지는 셈이다. 역대 연간 취업자 증감은 2021년 36.9만명, 2020년 -21.8만명, 2019년 30.1만명, 2018년 9.7만명, 2017년 31.6만명, 2016년 23.1만명, 2015년 28.1만명, 2014년 59.8만명 등이다. 코로나19 여파가 심했던 2020년을 제외하곤 2018년만이 내년 전망치를 밑돈다. 기재부는 이같이 어두운 고용 전망을 제시한 이유로 이달부터 본격화할 기저 효과와 경기 요인을 들었다. 기재부는 "올 하반기 고용은 기저 영향이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금리 인상, 코로나 확산세, 가계·기업 심리 위축 등 하방 요인이 상존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내년엔 기저 효과, 직접 일자리 정상화, 경기 둔화 우려, 인구 감소 영향 등에 따른 증가 폭 둔화 확대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고용호조' 개운치 못한 이유..'연말 둔화세 확대될 것''고용호조' 개운치 못한 이유..'연말 둔화세 확대될 것'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