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지친 국민은 '리셋'버튼 눌러..'관리형 여당'부터 돼야

울트라맨8

Lv 116

22.08.12

view_cnt

668

국민의힘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 만 사흘도 안 돼 휘청이고 있다. 직이 박탈된 이준석 전 대표가 당과 전멸전을 벌일 기세로 비대위 전환 의결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법원에 낸 것은 차라리 '예고된 외부 악재'에 가깝다. 오히려 비대위원장 인선, 비대위의 역할론, 조기 전당대회 개최 시기, 실패한 지도부 주역의 비대위 재합류 여부, 국회의원의 수해(水害)현장 망언 논란 등 내부 상황이 점입가경이다. 지난 9일부터 국민의힘의 자체 수습 능력에 의구심이 들었다. 당 전국위원회가 오전 중 당 대표 직무대행의 비대위원장 임명 권한 신설을 위한 당헌개정안, 오후에는 주호영 비대위원장 임명안을 순서대로 상정해 의결하는 과정에서 엇박자가 감지됐다. 책임지는 입장인 상층부 인사끼리도 별다른 공감대가 느껴지지 않은 탓이다. 전국위 의장인 서병수 의원은 오전 국회에서 전국위 회의를 주재한 뒤 만난 취재진에게 비대위원장 선임 절차를 두고 "지도부가 추천하고 의원총회라든가 당원들의 의견을 수렴해 추천하지 않겠나"라며 "특히 우리는 집권여당이고 정권이 출범한 지 얼마 되지 않았으니 (대통령) 비서실하고도 소통이 돼야 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5선 주호영 의원이 비대위원장에 유력하다는 보도가 잇따른 상황에서도 대통령실과의 소통 필요성을 제기하며, 당일 비대위 전환 절차를 마칠지도 불투명하다고 암시한 것. 그러나 당일 오후 들어 송언석 원내수석부대표가 기자간담회로 권성동 당시 대표 직무대행이 '오전 중 주 의원에게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요청했다'고 공지하며 일축했다. 서병수 의원의 '대통령실 소통' 발언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그는 "제가 확인한 사실이 아니기 때문에 말씀드리지 않는 게 낫겠다"고만 했다. 뒤이어 주 비대위원장 임명안이 화상의원총회 추인과 전국위 의결로 확정됐다. 주 비대위원장은 직후 취임 기자회견에서 "지난 토요일(6일) 비대위원장 제안을 받았다"고 스스로 밝혔다. 적어도 사흘 권성동 원내대표와 주 비대위원장 간 협의가 있었던 셈인데, 어쩐지 당내 교통정리를 거친 인선이란 느낌은 주지 못했다. 반면 권 원내대표의 직무대행 포기 이후 거취만큼은 '불편한 침묵'으로 양자가 공통된 대응을 했다. 취임 기자회견에서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 2선 후퇴론이 나온다는 지적에 주 비대위원장은 "상황이 이렇게 어려운 데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비대위 참여가 어렵다"면서도, 권 원내대표의 '당연직 비대위원' 참여를 문제 삼는 질문에는 "당헌당규에 당연직으로 참여하게 돼 있는 경우는 비대위원장으로서 어떻게 할 도리가 없지 않나"라고 면피했다. 다만 실제 당헌 내 비대위원 인선 규정에는 당연직 관련 내용이 없다. 권 원내대표는 정제되지 않은 언론 대응으로 일관했다. 지난 10일 국회에서 한 기자가 당연직 비대위원에서 배제될 가능성을 묻자 그는 "말이 되는 소리를 해야지", "그게 취재냐"고 대꾸하고 자리를 떴다. 권 원내대표는 9일 전국위, 10일 당정협의 등 일정에서 언론 접촉을 최소화했고 11일에도 당 디지털자산특별위원회 출범식에 불참한 채 서울 동작구 수해복구 봉사에만 집중했다. 원내지도부 한 인사는 지난 1일 '당 비상상황'을 결의한 의총에서 원내대표 거취가 거론되지 않았다는 점만 부각해 "거취에 대해 전혀 흔들림 없이 당을 잘 추슬러줘야한다는 의견이 더 강했다"고 단언했다가, 실체적 근거를 묻자 "그런 입장으로 보이는 것"이라고 말을 바꾸는 촌극도 연출했다. 이 전 대표 축출 과정에서 줄곧 불거진 문제에다, 당권주자군인 안철수 의원과 나경원 전 의원 등까지 권 원내대표 재신임을 물을 의총을 열자고 주장했으나 현 지도부는 '뭉개기'에 가까운 대응이다. 주 비대위원장은 11일 수해 복구 현장에서 관련 질문에 "장소에 맞는 거 물어보라"고 날을 세웠다. 비대위원 물망에 오르던 김성원 의원이 현장에서 "솔직히 비 좀 왔으면 좋겠다. 사진 잘 나오게"라고 실언해 논란이 인 뒤에도 그가 내놓은 첫 반응은 "그건 나한테 물어볼 이야기가 아니다", "김 의원이 늘 보면 '장난기'가 있다", "다 찍어보면 (기자) 여러분들 나오는 거 없는 것 같나"였다. 윤리위 징계 절차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 그 이튿날(12일)에야 나왔다. 공개 대응마다 하지하(下之下) 수준이다. 비대위의 역할을 두고도 전임 지도부처럼 소아(小我)를 내려놓지 못한 태도에 소모적 논란이 재발하고 있다. 소위 '혁신형'이냐 '관리형'이냐는 비대위의 정체성과 활동 기간에 주 비대위원장이 취임과 함께 내놓은 입장은 "혁신형 관리 비대위", "당 비상상황이 해소될 때까지"이다. 이 전 대표 체제에서 결성된 혁신위가 당 혁신안을 내면 비대위에서 채택하겠다고 했는데, 이미 표류중인 혁신위의 결과물을 기다리려면 더 많은 시일 소요가 불가피하다. 정기국회 중 조기전당대회가 곤란하다거나, 관리 실무형 비대위 요구에 "그러면 비대위를 할 거 뭐 있나. (전당대회) 선관위를 구성하면 되지"라고 입장을 낸 것도 주 비대위원장 본인이 비대위 활동을 오래 가져가는데 무게를 둔 것으로 보인다. 불편한 구(舊)지도부 수습 문제를 방관하는 모습은 '혁신'을 기대하기 어렵게 하고, 야심차게 벌인 봉사활동이 실언 파문에 덮인 것을 보면 비대위가 자력(自力)으로 당정 지지율 반등 등 '비상상황 해소'에 이를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공교롭게도 당내 인사들은 조기전대 일정에 촉각을 세우며 비대위원 인선에도 선뜻 응하지 않는 모양새다. 당권주자군이 입을 열 때마다 엇갈리는 전대 시기는 갈수록 주판알 튕기는 소음에 가깝게 들린다. 새 선출직 지도부가 민주적 정당성에 기반해 여권 수습에 과단성을 발휘하는 게 낫다는 게 여권 내 중론이다. 민심 측면에서도 주 비대위원장이 이 전 대표에게 향했던 혁신 기대치를 소화해낼 수 있다는 기대를 받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일 한길리서치 여론조사 결과(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 전 대표 해임을 촉발한 성접대 의혹 중징계에 대해 찬성론(42.4%)이 부정론(49.3%)보다 적었으나 당이 '위기상황'이란 것 만큼은 응답자의 60.6%가 공감했다. 차기 당권 후보군으로 반윤(反윤석열) 잠룡 유승민 전 의원과 이 전 대표가 나란히 선전했다는 설문 결과까지 겹쳐 있어, 눈에 띄는 비대위보단 '새 판 짜기'에 기대가 걸린 듯하다. 여권 일각에선 국민의힘이 아직도 야성(野性)과 '메시지 경쟁 과잉'에 빠져있어 국민 피로감만 늘린다는 지적도 나온다. '관리형 비대위' 시비도 사소하고, 정권을 창출했으면 조용하고 무게감 있는 '관리형 여당'으로 하루 빨리 변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준석·윤핵관 호불호'를 떠나 국민은 이미 리셋(Reset) 버튼을 눌렀는데 책임있는 집권여당이 언제까지 미적거릴 것인지.
지친 국민은 '리셋'버튼 눌러..'관리형 여당'부터 돼야[한기호의 정치박박]

지친 국민은 '리셋'버튼 눌러..'관리형 여당'부터 돼야[한기호의 정치박박]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3년 만에 관세사 81명 추가합격..산업인력공단 소송전 휩싸이나

지난 2019년에 치러졌던 36회 관세사 2차 시험의 추가합격자가 지난 5일 발표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이 3년 만에 합격자를 추가 공고한 건데 이에 대한 손해배상까지 진행될 것으로 보여 파장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박연신 기자 연결합니다. 3년 만에 추가 합격자가 나왔다는 것은 굉장히 황당한 일인데 어떤 일인지 다시 짚어주시죠.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20
22.08.12
자유주제

세종 최대 245.5mm 집중호우..시설피해 65건· 인명피해 없어

최근 사흘새 집중호우로 인해 세종에서 65건의 시설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12일 세종시에 따르면 집중호우로 가로수 쓰러짐 9건, 도로 침수 14건, 지하차도 침수 4건, 하수도 6건, 주택 침수 11건, 시설물 침수 4건, 기타 17건의 시설 피해가 났다.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 중 55건은 응급 복구를 마쳤고, 10건은 복구가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24
22.08.12
자유주제

30년이상 된 옹벽 495개.. 폭우 또 오면 붕괴위험

전국에 30년 이상 된 노후 옹벽이 495개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안전성에 중대한 결함이 있어 ‘즉시 조치’가 필요한 옹벽도 12개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옹벽은 ‘극동아파트 옹벽’처럼 폭우 등 외부 충격에 의한 붕괴 위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3일부터 또다시 집중호우가 예보된 상황에서, 노후 옹벽에 대한 즉각적인 보수 작업이 진행돼야 한다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1
22.08.12
자유주제

'코로나 대응' 지자체-의료 협의체 확대.."종식까지 운영"

정부가 코로나19 재유행에 대응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의료계가 참여하는 보건의료협의체를 전국 17개 지자체로 확대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12일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로부터 이 같은 내용의 '지역별 의료협의체 운영 강화방안'을 보고받아 논의했다. 코로나19 진료가 동네 병·의원을 중심으로 이뤄지면서 현재 여러 광역·기초 지자체에서는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5
22.08.12
자유주제

집중 호우로 13명 사망..산사태 피해 35건 늘어 104건

지난 8일부터 쏟아진 집중 호우로 13명의 사망자를 비롯한 인명피해와 산사태 104건 등 시설물 피해가 발생했다. 1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기준 강우 소강으로 산지 현장조사 실시 결과 산사태 피해 물량이 증가했다. 이날 오전 발표된 전남 일부 지역의 특보가 현재 모두 해제된 가운데 전남 남해안과 섬 지역, 제주도에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5
22.08.12
자유주제

굴착기·지게차에도 '민식이법' 적용.. 법무부 특가법 개정 입법예고

앞으로 굴착기나 지게차 등 도로교통법상 '자동차'에 포함되지 않는 건설기계들도 '민식이법' 적용 대상이 될 전망이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두 명의 어린이를 치어 한 명을 숨지게 하고 한 명을 다치게 한 뒤 달아난 굴착기 운전자에게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이하 특가법)상 가중처벌 조항을 적용하지 못했던 이른바 '평택 스쿨존 초등생 사망사건'의 재발을 막기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3
22.08.12
자유주제

민변 "검찰 수사범위 복원, 국회 입법권 무력화"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은 검찰 수사권을 확대하는 법무부의 시행령 개정 추진에 대해 "검찰 공화국을 완성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민변은 12일 성명에서 "경찰국 신설에 이어 또다시 위헌적인 시행령으로 국회의 입법권을 무력화하고 검찰 공화국을 완성하려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개정안 입법예고에 대해 "입법기관의 검찰청법 개정 취지에 정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5
22.08.12
자유주제

성균관대민주동문회 "'밀고 특채 의혹' 김순호 경찰국장 사퇴하라"

성균관대민주동문회가 이른바 '밀고 특채 의혹'이 불거진 김순호 행정안전부 경찰국장의 사퇴를 촉구했다. 성균관대민주동문회와 강제징집녹화·선도공작진실규명추진위원회 등 민주 활동 관련 단체들은 1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밀정 김순호는 사퇴하라"고 외쳤다. 이들은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김 국장은 자신의 의혹과 관련해 '소설 같은 얘기'라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28
22.08.12
자유주제

선관위, 3분기 경상보조금 116억 지급..민주 55억·국힘 50억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2일 올해 3분기 경상보조금 116억3600여만원을 6개 정당에 지급했다고 밝혔다. 경상보조금은 원내교섭단체인 더불어민주당(169석)이 55억7200여만원, 국민의힘(115석)이 50억2200여만원을 각각 지급받았다. 이어 비교섭단체 중 정의당(6석)에는 7억9200여만원, 기본소득당(1석)에는 8700여만원, 시대전환(1석)에는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54
22.08.12
자유주제

"8월 고령확진자 치료제 투여율 18.7%..처방 기관 확대"

코로나19 고령 확진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투여율이 8월에도 6월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은 적극적인 치료제 처방을 위해 병원급 의료기관의 먹는 치료제 처방을 확대하기로 했다. 1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요양병원·시설 환자 및 입소자 등 고위험군에는 코로나19 확진 초기 먹는 치료제 투약이 중증 진행을 막는데 효과가 있다는 분석에도 불구

울트라맨8|22.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41
22.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