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물가, 예상 가능한 변수로 등장했다"

울트라맨8

Lv 116

22.08.17

view_cnt

725

미국과 중국에서 모두 경기 둔화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다만 물가가 예상 가능한 변수로 변하고 있는 점에는 주목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17일 민병규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둔화 신호가 다양한 지표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면서 “이달 초 확인된 7월 글로벌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지수 자체의 낙폭도 컸지만(-1.1포인트), 25개국 중 21개국의 지표가 전월대비 하락했으며 7개국이 새롭게 위축 국면(50 포인트 이하)에 진입하는 등 내면의 성적도 좋지 않았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지난 15일 확인된 8월 뉴욕 제조업 지수는 경기둔화 국면이 연장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시사하고 있다”면서 “헤드라인 기준 7월 11.1포인트에서 8월 -31.3포인트로 급락했는데, 특히 신규수주가 6.2포인트에서 -29.6포인트로 하락하면서 추가 악화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그는 실망스러운 지표의 이면에는 긍정적인 변화도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민 연구원은 “주요 2개국(G2·미국과 중국)의 물가 지표 하락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는 점인데, 7월 미국 공급관리협회(ISM) 물가는 78.5→60.0포인트, 중국 국가통계꾹(NBS) 투하물가는 52.0→40.4포인트로 급락했다”면서 “참고로 인플레 수출국인 중국의 투하물가는 13년 4월 이후 최저수준으로 하락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난주 발표된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8.5%로 집계됐다. 전월치인 9.1% 대비 대폭 낮아졌다는 점도 의미 있지만, 올해 처음으로 컨센(8.7%)을 하회했다는 점에 중요한 시사점이 있다는 게 민 연구원의 분석이다. 그는 “물가가 예상 가능한 변수로 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민 연구원은 “물가 연동 지표들의 안정도 공통적으로 확인되고 있다”면서 “뉴욕 연준의 공급망 압력지수(GSCPI)는 21년 1월 이후 최저치인 1.84포인트로 하락했고, 작년말 565포인트까지 급등했던 화물선 운임지수(BDI)는 현재 1404포인트 수준으로 낮아졌다”고 말했다. 물가 구성품의 가격도 하향 안정되고 있다. 제조업 경기에 민감한 LME 산업금속 지수는 지난 3월 고점 대비 30.3% 하락했다. 이외 주요 산업금속의 연고점 대비 수익률은 각각 구리 -25.2%, 알루미늄 -37.9%, 니켈 -54.2% 등을 기록하고 있다. 그는 “지정학적 이슈를 강하게 반영했던 국제유가는 80달러대로 재차 하락했다”면서 “우크라이나전쟁 이전 수준(2월 평균 91.7달러)으로 복귀한 것으로, 미국의 휘발유 가격도 6월 5.02달러(역대 최고치)에서 현재 3.96달러로 낮아졌다”고 덧붙였다.
'물가, 예상 가능한 변수로 등장했다'

'물가, 예상 가능한 변수로 등장했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재고 없어도 돈 번다..럭셔리의 디지털 전략, 소비자에게도 득?

“보수적인 업계서는 말로만 듣던 4차산업혁명을 누가 앞당길까 했습니다. 코로나19가 터지니 혁명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2년 안에 이렇게 바뀔줄 아무도 몰랐을 겁니다.” (ICT업계 관계자) 코로나19 이전 유통업계는 보수적인 업계로 꼽혔습니다. 유통망, 창고, 물류처리 등 모든 것이 커다란 창고가 필요했죠. 명품업계도 마찬가지입니다. 물품을 저장할 곳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01
22.08.17
자유주제

"우리가 총선용 인질이냐"..1기 신도시 주민들 '분노'

정부가 1기 신도시 재건축을 위한 마스터플랜 마련 시점을 2024년으로 확정하자 각 지역에서 반발이 쏟아지고 있다. 당초 연말께 마스터플랜을 마련하고 윤석열 대통령 임기 내 삽을 뜨겠다던 약속이 어그러진 탓이다. 17일 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 등 1기 신도시가 위치한 지역 커뮤니티에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대한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전일 '국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4
22.08.17
자유주제

수주 싹 쓸고, 신조선가 오르고..조선주 '한 달간 20%↑'

부진한 모습을 보이던 국내 조선사들의 주가가 지난 한 달 사이 급등했다. 세계 수주 1위를 3개월간 지키고 있는 가운데 선가지수도 20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며 하반기 흑자 전환 기대감까지 키운 영향으로 풀이된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현대중공업·현대미포조선·한국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 주요 조선사 5곳의 주가는 평균 19.8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6
22.08.17
자유주제

민노총 불법 농성에 속타는 하이트진로.."이 사태 누가 만들었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하이트진로의 서울 강남 본사 옥상을 점거하고, 농성을 벌이는 것에 대해 노조의 '막무가내식' 농성을 언제까지 지켜보기만 해야 하느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민노총 화물연대 소속 조합원들이 하이트진로 본사를 기습 점거한 이유는 하청업체에서 발생한 노사 문제에 대해 원청업체인 하이트진로가 개입해 '운송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21
22.08.17
자유주제

'도심 주택 공급', 이번에도 뾰족한 수는 없었다

2020년 '8·4 대책', 2021년 '2·4 대책', 그리고 2022년 '8·16 대책'까지. 3년 동안 해마다 도심 주택 공급 방안이 발표됐습니다. 정권이 바뀌면서 '공공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기조는 변했지만, 공급 시기와 입지 등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나오지 않아 이번에도 도심 주택 공급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7
22.08.17
자유주제

11번가, 기업가치 2조원대로 '뚝'..IPO 성공할까

11번가가 상장을 앞두고 본격적인 몸값 올리기를 해야 하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픈마켓 중심의 사업 모델이 수 년 째 성장세가 멈춘 채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데다, 야심차게 준비한 미국 아마존과의 협업도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처럼 부진한 실적에 불안한 증시 환경까지 겹치며 11번가의 기업가치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01
22.08.17
자유주제

바이든, 전기차 지배력 강화 '인플레법' 서명.. 현대차·기아 보조금 타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자국의 전기자동차 지배력 강화를 위한 행보에 나섰다. 지난 16일(현지시각)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인 4300억 달러(약 565조원) 상당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인플레 감축법)에 서명하면서다. 이날 주요 외신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인플레 감축법에는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전기차 구매 시 세액을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14
22.08.17
자유주제

"미·독·중 GDP 부진..연준 금리기조 변화 가능성"

2분기 글로벌 주요국 미국·독일·중국 경제 성장률 부진이 나타나면서 경기 침체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다만 유가 하락과 함께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 기조 변화로 이어질 경우 소비심리 반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당장은 과도한 우려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이투자증권은 17일 2분기 글로벌 주요국 성적표인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0
22.08.17
자유주제

연봉 4억 '김주현 후임' 누가 될까..여신협회장 인선 본격화

김주현 금융위원장의 취임으로 공석이 된 여신금융협회장 인선 작업이 본격화된다. 민간 및 관료 출신 인사가 골고루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금융당국과 소통이 원활한 관료 출신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모습이다.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 빅테크 기업과 경쟁 등 요인으로 영업환경이 악화한 만큼 당국과의 적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0
22.08.17
자유주제

왕의 귀환 SK바사, 내년 독감백신 생산 확정..GC녹십자 '위협'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가 독감백신 시장에 다시 돌아온다. 2020년 국내 독감백신 업계 1위 자리를 포기하고, 2년여 가동했던 코로나19 백신 비상체제에서 정상화 과정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1위를 재탈환했던 GC녹십자 등 업계의 지각변동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SK바이오사이언스는 4가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4가프리필드시린지’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2
22.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