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리오프닝에 살아나는 유통株..시총 1위 자리 '박빙 경합'

울트라맨8

Lv 116

22.08.17

view_cnt

880

"자본 시장에서 우리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원하는 성장과 수익을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합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지난달 열린 2022년 하반기 VCM(옛 사장단회의)에서 기업 가치를 측정할 수 있는 가장 객관적인 지표로 '시가총액'을 꼽았다. 그러면서 주요 상장 계열사들이 시가총액 관리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최근 롯데쇼핑을 비롯한 유통 상장사들이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로 올 2분기 실적 개선을 보이며 주가도 회복되는 모습이다. 주요 유통 상장사들 가운데 누가 먼저 시가총액 3조원을 돌파하며, 엔데믹(풍토병화) 시대 '유통 대장주'에 오르느냐도 주목된다. 17일 한국거래소와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마트·롯데쇼핑·BGF리테일·GS리테일 등 주요 상장 유통 대기업들의 시가총액은 각각 2조원 후반대에 몰려있다. 전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을 보면 ▲이마트 2조9409억원 ▲BGF리테일 2조8778억원 ▲롯데쇼핑 2조8572억원 ▲GS리테일 2조6755억 등으로 '빅4'를 이루고 있다. 1~2위간 격차가 631억원에 불과할 정도로 박빙이다. 이어 ▲신세계 2조1906억원 ▲현대백화점 1조5352억원을 보이고 있다. 올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백화점과 편의점 등이 리오프닝 효과로 실적 개선을 보이며 최근 유통 기업들의 주가도 회복하는 양상이다. 때문에 어느 기업이 먼저 시가총액 3조원대를 탈환하며 유통 대장주로 입지를 굳힐 지도 관심거리다. 현재 이마트 시가총액이 가장 높지만, 지난해 인수한 SCK(스타벅스커피코리아)컴퍼니와 G마켓의 무형자산 감가상각비 등이 영향을 미치며 올 2분기 123억원 적자를 내고 있어 주가 전망은 부정적이다. 반면 롯데쇼핑이 실적 턴어라운드를 계기로 이마트 시가총액을 추월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롯데쇼핑이 올 상반기에 3년 만에 당기순이익이 흑자로 돌아서며 연간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증권가도 잇따라 롯데쇼핑 목표 주가를 높이고 있다. 유통 업계 관계자는 "신 회장이 시가 총액을 강조한 만큼 김상현 롯데쇼핑 부회장 등이 주가 관리에 더 공을 들일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의 선전도 주목된다. BGF리테일은 이미 이마트를 앞지르고 유통주 시가총액 1위에 오른 경험이 있다. 최근 사회적 거리 두기 해제에 이어 인플레이션으로 편의점에 우호적인 경영 환경이 긍정적이다. 다만 지난해 7월 GS홈쇼핑을 합병한 GS리테일의 시가총액은 아직 2조원대 중반에 머무르고 있어 기대보다 저조한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
리오프닝에 살아나는 유통株..시총 1위 자리 '박빙 경합'

리오프닝에 살아나는 유통株..시총 1위 자리 '박빙 경합'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물가, 예상 가능한 변수로 등장했다"

미국과 중국에서 모두 경기 둔화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다만 물가가 예상 가능한 변수로 변하고 있는 점에는 주목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17일 민병규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둔화 신호가 다양한 지표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면서 “이달 초 확인된 7월 글로벌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지수 자체의 낙폭도 컸지만(-1.1포인트),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16
22.08.17
자유주제

재고 없어도 돈 번다..럭셔리의 디지털 전략, 소비자에게도 득?

“보수적인 업계서는 말로만 듣던 4차산업혁명을 누가 앞당길까 했습니다. 코로나19가 터지니 혁명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2년 안에 이렇게 바뀔줄 아무도 몰랐을 겁니다.” (ICT업계 관계자) 코로나19 이전 유통업계는 보수적인 업계로 꼽혔습니다. 유통망, 창고, 물류처리 등 모든 것이 커다란 창고가 필요했죠. 명품업계도 마찬가지입니다. 물품을 저장할 곳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91
22.08.17
자유주제

"우리가 총선용 인질이냐"..1기 신도시 주민들 '분노'

정부가 1기 신도시 재건축을 위한 마스터플랜 마련 시점을 2024년으로 확정하자 각 지역에서 반발이 쏟아지고 있다. 당초 연말께 마스터플랜을 마련하고 윤석열 대통령 임기 내 삽을 뜨겠다던 약속이 어그러진 탓이다. 17일 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 등 1기 신도시가 위치한 지역 커뮤니티에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에 대한 성토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는 전일 '국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6
22.08.17
자유주제

수주 싹 쓸고, 신조선가 오르고..조선주 '한 달간 20%↑'

부진한 모습을 보이던 국내 조선사들의 주가가 지난 한 달 사이 급등했다. 세계 수주 1위를 3개월간 지키고 있는 가운데 선가지수도 20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며 하반기 흑자 전환 기대감까지 키운 영향으로 풀이된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한 달간 현대중공업·현대미포조선·한국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 주요 조선사 5곳의 주가는 평균 19.8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36
22.08.17
자유주제

민노총 불법 농성에 속타는 하이트진로.."이 사태 누가 만들었나"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하이트진로의 서울 강남 본사 옥상을 점거하고, 농성을 벌이는 것에 대해 노조의 '막무가내식' 농성을 언제까지 지켜보기만 해야 하느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민노총 화물연대 소속 조합원들이 하이트진로 본사를 기습 점거한 이유는 하청업체에서 발생한 노사 문제에 대해 원청업체인 하이트진로가 개입해 '운송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15
22.08.17
자유주제

'도심 주택 공급', 이번에도 뾰족한 수는 없었다

2020년 '8·4 대책', 2021년 '2·4 대책', 그리고 2022년 '8·16 대책'까지. 3년 동안 해마다 도심 주택 공급 방안이 발표됐습니다. 정권이 바뀌면서 '공공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기조는 변했지만, 공급 시기와 입지 등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나오지 않아 이번에도 도심 주택 공급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1
22.08.17
자유주제

11번가, 기업가치 2조원대로 '뚝'..IPO 성공할까

11번가가 상장을 앞두고 본격적인 몸값 올리기를 해야 하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픈마켓 중심의 사업 모델이 수 년 째 성장세가 멈춘 채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데다, 야심차게 준비한 미국 아마존과의 협업도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처럼 부진한 실적에 불안한 증시 환경까지 겹치며 11번가의 기업가치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93
22.08.17
자유주제

바이든, 전기차 지배력 강화 '인플레법' 서명.. 현대차·기아 보조금 타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자국의 전기자동차 지배력 강화를 위한 행보에 나섰다. 지난 16일(현지시각)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인 4300억 달러(약 565조원) 상당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인플레 감축법)에 서명하면서다. 이날 주요 외신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인플레 감축법에는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전기차 구매 시 세액을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06
22.08.17
자유주제

"미·독·중 GDP 부진..연준 금리기조 변화 가능성"

2분기 글로벌 주요국 미국·독일·중국 경제 성장률 부진이 나타나면서 경기 침체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다만 유가 하락과 함께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 기조 변화로 이어질 경우 소비심리 반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당장은 과도한 우려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하이투자증권은 17일 2분기 글로벌 주요국 성적표인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2
22.08.17
자유주제

연봉 4억 '김주현 후임' 누가 될까..여신협회장 인선 본격화

김주현 금융위원장의 취임으로 공석이 된 여신금융협회장 인선 작업이 본격화된다. 민간 및 관료 출신 인사가 골고루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금융당국과 소통이 원활한 관료 출신을 선호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모습이다.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 빅테크 기업과 경쟁 등 요인으로 영업환경이 악화한 만큼 당국과의 적

울트라맨8|22.08.1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2
22.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