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주택증여, 올해 안에 하면 좋은 2가지 이유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830

주택을 배우자나 자녀 등 가족에게 증여할 계획이 있다면, 올해 안으로 증여를 서두르는 것이 좋다. 2023년부터 주택증여에 대한 세금부담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이다. 증여 받자마자 팔면 안 되는 기간, 5년 → 10년 우선 내년부터 특수관계자간 증여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이월과세 적용기간이 5년에서 10년으로 크게 늘어난다. 현재 특수관계자에게서 주택을 증여받은 후 5년 이내에 양도하면, 양도차익을 계산할 때 증여한 사람의 과거 취득가액을 증여받은 사람의 취득가액으로 적용하는 이월과세 기준이 있다. 양도소득세 이월과세다. 예를 들어 남편 A씨가 2015년에 2억원에 매입한 주택을 2024년 10억원에 양도하는 경우 양도차익은 8억원이 되지만, 그 사이 2020년에 부인에게 6억원에 증여하고, 부인이 2024년에 이 주택을 10억원에 양도한다면 세금부담은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부인은 부부간 증여공제로 증여세 부담도 없고, 양도세를 계산할 양도차익도 4억원으로 줄어든다. 하지만 이렇게 가족간 증여를 통한 세금을 회피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이월과세가 도입돼 있다. 특수관계자간에는 증여 후 5년 이내에 양도하면 취득시점을 애초에 증여자가 취득한 시점으로 이월해서 양도세를 계산하는 제도다. 실제로는 A씨 부인이 증여받은 후 5년이 안 된 2024년에 양도하기 때문에 본인이 증여받은 가액 6억원이 아닌 남편 A씨가 취득한 당시의 2억원을 취득가액으로 해서 양도차익 8억원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하는 것이다. 현재는 이런 경우라도 증여 후 5년이 지나면 이월과세를 피할 수 있는데, 2023년 1월 1일 이후 증여받은 주택에 대해서는 이월과세 적용기간이 10년으로 늘어난다. 실제 주택증여 계획이 있는 경우, 당장 올해 안에 증여한다면 증여받은 가족이 2028년까지만 양도계획을 미루면 되지만, 2023년 1월 1일 이후에 증여한다면 2033년까지는 양도하기가 부담스러운 상황이 될 수 있다.

주택증여, 올해 안에 하면 좋은 2가지 이유 | Daum 부동산주택증여, 올해 안에 하면 좋은 2가지 이유 | Daum 부동산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