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너 성공했구나" 듣고싶다..'돈' 벌면 벤츠, '별' 달면 제네시스, 포르쉐는?

vi

Lv 103

21.11.27

view_cnt

2,299

'성공' 이미지에 판매도 대박 벤츠 E클래스 제네시스 G80 밴드왜건·파노폴리 효과 한몫 포르쉐, '성공 아이콘'에 합류 자동차가 처음 등장했을 때는 금수저 상류층 사람들만 소유했다. 단순한 이동수단을 넘어 운전자(또는 탑승자)의 신분을 상징했다. 상류층도 의식주 못지않게 자신의 신분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자동차를 적극 활용했다. "난 너희들과 달라"라며 자신의 존재감과 위압감을 말없이 알려주기 위해서다. 미국 포드가 1908년 컨베이어벨트를 활용한 '모델T' 대량생산 시스템(포디즘)으로 자동차 대중화 시대를 개척한 뒤에는 차량 소유만으로는 신분을 상징하기 어려워졌다. 그 대신 자동차 브랜드나 차종이 신분 과시 수단으로 사용됐다. 인도 카스트(Caste) 제도처럼 '자동차 카스트'가 등장했다. 자동차가 생활필수품이 되고 비교적 적은 돈으로 비싼 차를 탈 수 있는 대여(렌트), 금융상품, 구독 서비스 등이 나오면서 '차종=신분' 분위기는 약해졌다. 하지만 여전히 신분이나 직위에 따라 탈 수 있는 차종이 달라지는 카스트 유산은 남아있다. '성공의 상징'이 대표적이다. 국내에서 성공을 상징하는 대표 차종은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와 S클래스, 제네시스 G80과 G90, 현대차 그랜저다. 이 중 벤츠 E클래스는 수입차 분야, 제네시스 G80은 그랜저 뒤를 이어 국산차 분야에서 '금수저'가 아니더라도 타볼 수 있는 대중적인 '성공 아이콘'이 됐다. 물론 성공하지 않아도 탈 수 있다. 성공했다고 이들 차종만 타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성공' 이미지는 이들 차종이 베스트셀링카로 자리 잡는 데 크게 기여했다. 성공하려면 E세그먼트 장악해야 자동차 분류 기준에 따르면 벤츠 E클래스, 제네시스 G80은 모두 E세그먼트(Executive cars, 프리미엄 중형·준대형차급)에 해당한다. E세그먼트는 자동차시장 중 경쟁이 가장 치열한 프리미어 리그다. E세그먼트 차종은 더 럭셔리하지만 부유하지 않으면 구입하기 어려운 F세그먼트(럭셔리카급)의 대형 차종보다 많이 팔리고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추 역할을 담당한다. A세그먼트(경차급), B세그먼트(소형차급), C세그먼트(준중형차급), D세그먼트(중형차급)를 끌어주고 F세그먼트를 밀어준다. E세그먼트를 장악해야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면서 시장을 '호령'할 수 있다. 당연히 자동차 브랜드들은 사활을 걸고 E세그먼트를 공략한다. 차종이 주는 심리적·사회적 이미지에도 공들인다. 게다가 이그제큐티브(Executive)는 경영진, 중역, 고급이라는 뜻을 지녔다. E세그먼트는 성공한 직장인이 오너 드리븐카(차주가 직접 운전하는 차)로 사용할 수 있는 마지노선처럼 여겨진다. '삼각별' 위력, 차이나는 벤츠 E클래스 '삼각별(벤츠 엠블럼)' 허리를 담당하는 벤츠 E클래스는 수입차 시장에서 '차이나는 클래스'를 보여주며 5년 연속 수입차 판매 1위를 차지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 통계에 따르면 벤츠 E클래스는 지난해 3만2480대가 판매됐다. 가장 많이 판매된 수입차종이다. 지난해 벤츠코리아 전체 판매대수 7만6879대의 절반 가까이가 벤츠 E클래스 몫이었다. 수입차협회가 집계하는 베스트셀링카 1위 자리도 벤츠 E클래스 차지였다. 벤츠 E250은 지난해 1만321대가 팔리면서 1위에 올랐다. 유일하게 판매대수 1만대를 돌파했다. 벤츠 E300 4매틱은 7835대로 3위를 기록했다. E클래스만 판매 톱10 자리에 두 개 모델이 포함됐다. 벤츠 E클래스 경쟁상대인 BMW 520은 6948대로 4위, 렉서스 ES300h는 5732대로 6위, 아우디 A6 40 TDI는 4923대로 8위를 기록했다. 벤츠 E클래스는 2016년 6월 10세대 모델이 출시된 뒤 5년 연속 1위에 오르는 기록도 세웠다. 지난해 10월 출시된 더뉴 벤츠 E클래스는 11~12월에 판매 돌풍을 올리며 1위 자리를 지키는 데 기여했다. 벤츠 E클래스는 6년 연속 1위 자리도 사실상 따놓았다. 26일 국토교통부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동차 통계를 집계하는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가 발표하는 신차 등록판매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벤츠 E클래스는 올 1~10월 2만2913대가 판매됐다. 2위이자 막판 추격에 나선 BMW 5시리즈(1만5734대)를 7179대 차이로 제쳤다. BMW 5시리즈가 한 달 평균 1500대 정도 판매된 점을 감안하면 벤츠 E클래스를 따라잡긴 어렵다. 벤츠 E클래스 인기에는 '삼각별'로 대표되는 벤츠의 프리미엄 가치가 인증하는 성공과 성취가 한몫했다. 벤츠코리아가 다음소프트에 의뢰한 '벤츠 E클래스 소셜 빅데이터 분석 리포트'에서도 벤츠 E클래스는 한국 사회에서 개인의 성취를 인증하는 지표로 나타났다. 다음소프트는 2016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에서 벤츠 E클래스와 관련해 나온 210억건이 넘는 데이터를 분석해 핵심 키워드를 추출했다. 성취 연관어로 전통적인 '집'과 '아파트' 외에 '수입차'(외제차), '시계' 등에 대한 언급량이 증가하며 이들이 새로운 성취의 대상으로 나왔다. 다시 수입차 연관어를 분석한 결과, 성취 연관 모델로 벤츠 E클래스가 가장 많이 나왔다. 벤츠 E클래스를 성공을 상징하는 차로 인식하고 있다는 의미다. 또 벤츠 E클래스 연관어를 분석한 결과, '전문직'과 '맞벌이'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E클래스가 '고소득 맞벌이' 부부의 차로 인식되고 있는 동시에 우리 사회의 맞벌이 부부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대변하는 셈이다. 제네시스 G80, 별이 빛나는 순간 공략 제네시스 G80은 벤츠와 BMW가 주도하는 국내외 프리미엄 자동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현대차그룹이 전략적으로 내놓은 차종이다. 2008년 1월 1세대 제네시스(BH)로 첫선을 보였고 2013년에는 2세대 제네시스(DH)로 진화했다. 제네시스가 2015년 현대차에서 독립해 프리미엄 브랜드로 출범하면서 제네시스 G80이 됐다. 카이즈유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제네시스 G80은 지난해 5만4946대가 판매됐다. 전년(2만2625대)보다 142.9% 폭증했다. 14년 만에 국내에서 벤츠 E클래스를 잡으면서 국내 프리미엄 차종 1위 자리에도 올랐다. 벤츠 E클래스는 2019년 3만9788대, 지난해 3만3642대 각각 판매됐다. 제네시스 G80은 올 들어서는 1위 굳히기에 들어갔다. 올 1~10월 판매대수는 4만9856대다. 벤츠 E클래스(2만2913대)보다 두배 많이 팔렸다. 제네시스 G80을 프리미엄 대표 차종으로 올려놓은 1등 공신은 '성공 이미지'다. 제네시스 G80은 대중화 길을 걷고 있는 그랜저 뒤를 이어 성공의 아이콘이 됐다. 그랜저보다 더 '급'이 높은 임원용 차로 자리매김했다. 대기업의 경우 상무급은 그랜저나 기아 K8, 전무급은 G80이나 K9을 제공한다. 대다수 직장인의 로망인 '별'을 달아야 탈 수 있는 차라는 이미지를 구축했다. 글로벌 행사에 '의전차량'으로 자주 등장한 것도 성공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올해도 지난달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G20 발리 정상회의'에서 제네시스 G80 전동화 모델이 공식 VIP 차량으로 선정됐다. 제네시스 G80은 해외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G80은 주요 시장인 미국에서 벤츠 E클래스, BMW 5시리즈, 아우디 A6 독일 3사 프리미엄 세단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럭셔리 세단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미국 자동차 전문매체 로드앤트랙은 "신형 G80은 제네시스 브랜드의 새롭고 멋진 디자인 언어를 통해 BMW 5시리즈, 아우디 A6,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등과 경쟁하려 한다"고 분석했다. '성공' 이미지에 밴드왜건과 파노플리 효과가 결합하면서 시너지를 창출한 셈이다. 벤츠 E클래스와 제네시스 G80 모두 '성공'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성공을 돈, 권력, 명예로 구분하면 차이가 다소 발생한다. '상대적'으로 벤츠 차종은 경제적 성공, 제네시스 차종은 사회적 성공과 명예에 좀 더 무게가 실린다. 돈 벌면 벤츠, 별 달면 제네시스인 셈이다. 물론 경제적으로 성공한 뒤 제네시스 G80을 구입하거나, 회사에서 임원으로 승진한 뒤 벤츠 E클래스를 제공받는 사례도 있다. 또 성공한다고 이들 차종만 타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차종도 많이 선택한다. 성공하지 못했다고 살 수 없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성공' 이미지는 두 차종의 가치를 높여줬다. 경쟁차종들이 가격, 성능, 품질을 높여도 쉽게 따라잡기 어려운 경쟁력도 제공했다. 또 성공 이미지에 샤넬이나 루이비통 등 명품 소비를 확산시키는 밴드왜건(bandwagon) 효과와 파노플리(panoplie) 효과가 결합하면서 판매 대박을 터트렸다. 밴드왜건은 서커스 행렬 선두에 서서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악대 자동차'다. 경제학과 심리학에서는 일부 부유층에서 시작한 과시적 소비를 주위 사람들이 따라하면서 사회 전체로 확산되는 '편승 효과'를 의미한다. 파노플리는 특정 계층이 소비하는 상품을 구입해 해당 계층에 자신도 속한다고 여기는 현상을 뜻한다. 상품이 사람을 평가한다는 생각이 바탕에 있다. '성공' 이미지에 밴드왜건과 파노플리 효과가 결합하면서 시너지를 창출한 셈이다. 포르쉐, 밴드왜건·베블런 효과 톡톡 벤츠, 제네시스에 이어 최근에 '성공 대열'에 합류한 브랜드가 또 있다. 포르쉐다. 포르쉐는 성공한 연예인의 상징처럼 여겨지고 있다. 일거수일투족이 노출되는 유명 연예인의 차는 그 자체로 이미지 형성에 기여한다. 연예계에서 성공하고 이미지도 좋다면 그 효과는 배가된다. 여기에 스타 연예인이 사용하는 제품을 품절사태로 만드는 밴드왜건 효과, 사회적 지위나 부를 과시하기 위해 가격이 더 비싼 물건을 흔쾌히 구입하는 베블런(veblen) 효과도 작용한다. 포르쉐는 올해에는 '국민MC' 유재석 덕을 봤다. 유재석은 지난 3월 한 예능프로그램에서 "제가 방송에서 몇 번이나 '예전에는 국산 차를 많이 탔지만 차를 바꾼 지 2년 정도 됐고 지금은 (포르쉐) 파나메라 탄다'고 밝혔는데 자꾸 편집을 하신다"며 속 시원하게 고백했다.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신과 함께'의 원작 웹툰 작가인 주호민도 포르쉐 성공 이미지에 기여했다. 그는 지난 8월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채널을 통해 그동안 타던 기아 레이를 중고차로 내놓고 포르쉐 911을 구입한 사실을 밝혔다. 주호민은 영상에서 "작년에 마흔 살이 된 기념으로 드림카를 장만하려다가 어영부영 넘어갔는데 염따 선생의 '질러라, 그리고 더 열심히 일해라'라는 철학에 영향을 받았다"며 차량 구매 이유를 설명했다.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communityImage
'너 성공했구나' 듣고싶다..'돈' 벌면 벤츠, '별' 달면 제네시스, 포르쉐는? [세상만車]

'너 성공했구나' 듣고싶다..'돈' 벌면 벤츠, '별' 달면 제네시스, 포르쉐는? [세상만車]

사이트 방문

댓글

8

소니7

Lv 90
21.11.27

한국에서 젤 많이 팔리는 수입차들도 다 e세그들이죠 ㅎㅎ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5

vi

Lv 103
작성자
21.11.27

빨리 성공해야 벤츠 타는데 말이죠 ㅋ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소니7

Lv 90
21.11.27

성공하고싶습니다 ㅋㅋ 비님이 부럽네요

댓글 좋아요

1

대댓글

0

나만없어페라리

Lv 31
21.11.27

저도 벤츠 탔었는데..전에 탔던 S클이 그립네요ㅎㅎㅎ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vi

Lv 103
작성자
21.11.27

우리도 빨리 성공해서 벤츠타게요 ㅎㅎ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vi

Lv 103
작성자
21.11.27

와우 s ㅋㅋ 페라리님 요즘 세컨은 대기중이신건가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울트라맨8

Lv 116
21.11.27

폴쉐갖고싶네요 진심 ㅠ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대유안대유

Lv 95
21.11.28

포르쉐.. ㅠㅠ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자동차 타이어 갈변, 운전자의 잘못이 아니다?

혹시 타이어 색깔이 누렇게 변하는 것을 보셨나요? 그래서 자꾸 세차장을 찾기도 하고 세차가 잘못되어서 깨끗하지 못하다고 생각한 적이 있으실 겁니다. 자동차는 원래 휠과 타이어가 더러우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법이니까요. 그만큼 타이어와 휠은 자동차 외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데요. 자동차가 출시될 때는 깨끗하던 타이어가 점점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발견할

thumbnail
vi|21.11.27
like-count2
commnet-count4
view-count1,102
21.11.27
자유주제

사이드 브레이크 항상 거시나요???

예~전에 평지 주차시엔 P만 놓아도 된다고 본거같아 경사진곳아니면 사이드 잘안걸었는데요 평지주차시에도 사이드 거는게  차관리?에..유리할까요?? 아 그리고 사이드걸때는  사이드 걸고 P놓으라하던데 이게 정석인가요,.? 풀때는 D부터놓고 사이드풀라던데.?

고기빵|21.11.27
like-count0
commnet-count10
view-count1,293
21.11.27
자유주제

서울 모빌리티쇼 다녀왔습니다!

벤비아포 위주로 찍은 사진들 입니다! 풀샷은 사람이 많아서 사진찍기가 애매해서 못찍었습니다ㅜㅜ 규모가 좀 작긴 했지만 예쁜 차들을 보니 기분은 좋네요!^^ 즐건 주말 보내세요:)

thumbnail
으헝엉흥|21.11.27
like-count0
commnet-count13
view-count1,099
21.11.27
자유주제

ㅎㅎ 뒷 휀다 약간 ㅉ그러졌어용

슨생님들 안뇽하세용 초보에용 ㅜㅜ 왕초보말고 초보때 조심해야한다더니 ㅎ 접촉 사고 살짝나서 반성 많이 했습니당 ㅠ ㅡ ㅠ 인생을 배웠에욥 흑흑 뒷휀다+뒷문 약간 찌그러졌는데 미관상 불편한거 말고 안전에는 문제 없겠죵? ㅠㅜ 뀨우

열매|21.11.27
like-count2
commnet-count22
view-count1,026
21.11.27
자유주제

320i msp/a5 40 tsfi/xc40/g70 여자 곧 30 차 고민

여자 혼자 탈 차로 무난하게 데일리로 타고 다닐 차 고민인데 주로 시내주행인데 내년부턴 고속주행도 꽤 할 거 같아요 내년 결혼 예정이지만 혼자 타고 다닐 차 구입이라! 어떤게 좀 예쁘고 가성비도 괜찮고 적당히 타고다니기 좋을까요? 제가 생각한 각 장점은.. BMW는 핸들 두껍고 묵직한 안정감있는 느낌이 좋았고 A5는 디자인이 너무너무 예쁘고 XC40은 su

Bigpie|21.11.27
like-count0
commnet-count15
view-count1,609
21.11.27
자유주제

반사 썬팅 오랜 고민입니다ㅠ

카마스터님이 비슷한 가격이라해서 더 고민이네요ㅠㅠ 브이쿨 k, 솔라가드 퀀텀 중에 고민 입니다. 장점 단점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3첫차|21.11.27
like-count0
commnet-count13
view-count1,054
21.11.27
자유주제

모터쇼 1시간이면 보나요?

생각보다 멀어서 이제 도착할거같은데..

234|21.11.27
like-count0
commnet-count7
view-count916
21.11.27
자유주제

팰리세이드 뛰어넘는 덩치 "대단하네"..승부수 던진 수입차들

이제 수입차 '대형'이 대세 한국GM, 내년 '타호' '시에라' 출시 지프, 브랜드 첫 3열 시트 들인 체로키 선봬 랜드로버, 최초 7인승 출시 레인지로버 출시 수입차 회사들이 한국 시장에서 '덩치'에 승부를 걸었다. 국내 소비자들이 갈수록 대형 차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27일 한국GM에 따르면 내년 1분기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thumbnail
vi|21.11.27
like-count2
commnet-count7
view-count1,877
21.11.27
HOT
자유주제

"BMW 끝났다" 비웃었는데..7년 숨겼던 '내공'에 놀랐다, '돌직구 전기차' BMW i

BMW, 비웃음에도 7년 '묵언 수행' 벤츠 포르쉐 테슬라에 강력한 한방 키드니 그릴 논란도 단번에 날렸다 사전계약 '대박행진', 2000대 돌파 BMW는 메르세데스-벤츠, 아우디와 함께 독일을 넘어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 3강을 형성했다. 단, 내연기관 분야에서다. 전기차 분야에서도 BMW는 발 빠르게 움직였었다. 단, 7년 전 일이다. BMW는 지난

thumbnail
vi|21.11.27
like-count6
commnet-count15
view-count1,789
21.11.27
자유주제

'시끄러워진' 렉서스 하이브리드..진화인가 퇴행인가

“소리가 달라요.” 도요타 시승 차를 관리하는 김종균 카웨이 이사가 말했다. 그 말을 듣고 차에 올라 시동을 걸었다. 모터 돌아가는 소리만 작게 들릴 뿐 적막하다. 도로에 나가서 가속 페달을 깊게 밟아보고 나서야 알았다. 종전 모델에 없던 날카로운 엔진 소리가 들린다. 이달 초 도요타의 대표 하이브리드(내연기관 엔진과 전기모터·배터리를 결합한 차) 자

thumbnail
vi|21.11.27
like-count2
commnet-count3
view-count1,376
21.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