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난 1분이면 끝" 전기차 배터리 교체, 게임 체인저 될까?

vi

Lv 103

22.02.12

view_cnt

1,098

전기차 시대가 성큼 다가오면서 자동차 업체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문제는 배터리다. 전기차 중 배터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40%가 넘을 정도. 가격이 비싸거니와 무게도 많이 나가고 충전시간도 오래 걸린다. 자동차 기업에서 무한대로 배터리 충전소를 만들어줄 수도 업는 상황. 배터리 관련 신기술을 꾸준히 개발 중이지만 당장 상용화도 힘들다. 계속해서 배터리 용량과 주행거리는 늘어나고 있는 반면 이미 만들어 놓은 전기차용 배터리는 어떻게든 사용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있다.  이중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부분은 바로 충전이다. 내연기관 자동차는 주유소에서 오래 걸려도 5분 이상 주유를 하지 않지만 전기차는 100% 충전은 고사하고 80%까지 아무리 빨라도 30분 정도는 필요로 한다. 당장은 전기차가 많지 않기 때문에 여유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전기차가 급증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내 앞에 2대만 대기하고 있어도 1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오기 때문이다. 가장 이상적인 것은 집 앞에 주차를 하고 밤새 완속 충전을 하는 것이다. 심야전기를 사용하면 충전비용도 아낄 수 있고 완속 충전을 통해 배터리 상태를 더욱 잘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실상 불가능하다. 당장 내 집 앞 충전은 고사하고 주차할 공간조차 마땅치 않은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전기차 배터리 자체를 교체하는 배터리 스왑(Battery Swap)이 각광받고 있다. 과거 스마트폰이 배터리를 다 사용하면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배터리 스왑이 최근 주목받고 있지만 이면에는 이미 10년 전부터 국내 업체가 시도한 바 있다. 주인공은 르노삼성으로, 2013년 SM3 Z.E. 차량의 배터리를 교체하는 ‘퀵드롭’ 시설을 제주도에서 운영했다. 사용한 배터리를 탈거하고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4시간 이상이 필요했던 충전시간을 3분 이내에 배터리 교체로 끝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퀵드롭 시스템은 2년 만에 폐지되고 말았다. 시설 운영 비용이 수익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다른 전기차와 호환도 되지 않아 범용성도 부족했다. 미국의 스타트업 배터리 프레이스(Battery Place)는 르노삼성보다 앞선 2008년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을 운영했지만 아무도 전기차에 관심을 갖지 않은 시기여서 실패했다. 이후 배터리 스왑 시장은 중국과 대만 등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확대됐다. 전기차가 아닌 전기 바이크를 중심으로 발전한 것이 특징. 전용 시설이 필요치 않고 일반인이 손쉽게 교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일종의 자판기를 연상시키는 바이크 배터리 스왑은 일정 요금을 지불하면 다 쓴 배터리를 충전기에 꽂아 넣고 완충된 배터리를 꺼내 바이크에 장착하는 방식이다. 중국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시장은 자동차보다 바이크를 주요 이동 수단으로 활용하고 여기에서 내뿜는 배출가스도 상당한 수준이다. 이 때문에 전기차보다 전기 바이크가 빠르게 보급되기 시작했으며, 여기에 맞춰 배터리 스왑 인프라가 구축된 것이다. 전기 바이크에 이어 다시 전기차의 배터리 스왑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에도 중국이 배터리 스왑 시장에서 선두를 차지하고자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국 기업이 아닌 국가에서 주도적으로 배터리 스왑 인프라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기차 시장에서 확실한 우위를 다지겠다는 것이다. 이 기술을 선점적으로 도입한 업체는 니오(NIO, 蔚来)다. 니오는 중국 전역에 750개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을 보유하고 있다. 2020년 140여 개에 불과했으니 단기간에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을 확충시킨 것. 배터리 교체 횟수도 400만 번을 넘는다. 니오는 배터리 스왑 관련 기술 선두주자다. 이미 배터리 스왑 관련 특허만 1200개가 넘을 정도로 기술 확보에 집중했다. 니오는 배터리 스왑을 통한 새로운 자동차 판매 서비스도 실시했다. BaaS(Battery as a Service)라는 이름이 그것이다. 통상 전기차를 구매하면 차값에서 보조금을 뺀 가격이 소비자가 지출해야 할 금액으로 정해진다. 여기서 값비싼 전기차는 보조금을 제한적으로 받거나 아예 못 받는 경우도 있다. 니오의 Baas는 전기차를 구입하되 배터리는 빼고 자동차만 구입하는 개념이다. 이 때문에 전체 차량 가격에서 7만 위안(약 1315만 원)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다. 여기에 중국 정부에서 30만 위안(약 5640만 원) 이상의 전기차는 배터리 스왑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니오와 같은 프리미엄 전기차를 구입하면서 정부 보조금도 받고 1300만 원가량 할인도 받는 셈인 것이다. 배터리는 구독 형태로 임대한다. 70kWh 용량 기준 월 980위안(약 18만 원)을 지불하면 된다. 배터리가 떨어지면 충전할 필요 없이 니오의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을 방문에 새 배터리로 교체하면 그만이다. 새로운 배터리 기술이 추가되면 그대로 장착할 수 있어 주행거리 향상 효과도 누릴 수 있다. 배터리는 계속 바뀌기 때문에 노후화에 대한 걱정도 덜 수 있다. 혹시 모를 화재 사고에 대비한 보험 상품도 발표했다. 중국 최대 배터리 제조사 CATL도 이 사업에 뛰어들었다. EVOGO라는 이름의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을 런칭한 것. CATL은 중국 10개 도시에 우선적으로 스왑 스테이션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CATL의 배터리 스왑은 조금 독특하다. 1개의 큰 배터리를 3개로 나눈 것인데, 근거리 정도만 주행한다면 1개만, 장거리 이동이 필요하면 3개 모두 교환하도록 만들었다. 그만큼 요금도 세분화시켜 소비자들에게 지출 부담을 줄이도록 했다. 배터리 교체 시간도 1분 남짓으로 니오의 배터리 스왑보다 훨씬 빠르다. 단,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CATL의 배터리 스왑 규격에 맞춘 전기차를 구입해야 하는데, 아직까지는 이치자동차(一汽汽车)만 해당 규격에 대응한다. 지리자동차(Geely, 吉利汽车)도 적극적이다. 중국 배터리 기술 개발업체인 리판크어지(力帆科技)와 6억 위안(약 1128억 원)을 투자해 교체식 배터리 개발업체를 설립했다. 여기서 개발된 기술은 향후 지리의 전기차에 탑재돼 배터리 스왑 시장을 크게 확대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지리는 2025년까지 중국 전역에 5천여 개의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오둥신에너지(奥动新能源)라는 배터리 교환 전문 서비스 업체도 2021년 말 기준 중국 26개 도시에 547개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을 운영하고 있다. 이 업체는 일반 전기차가 아닌 택시와 같은 공공 전기차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이 특징. 택시의 경우 일 주행거리가 많아 배터리 소모량이 많은데 최소한의 시간으로 효율적인 전기차 운영이 가능해 만족감이 높다고 자평했다. 이외에 장안자동차(长安汽车), 동펑자동차(东风汽车)와 같은 대형 자동차 기업들도 배터리 스왑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 중이다. 중국 정부는 2020년 5월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을 ‘신 인프라’로 규정하고 베이징을 포함한 11개 도시를 배터리 스왑 사업 시범지역으로 규정한 바 있다. 단순히 필요에 의한 시장 형성이 아닌 국가 주도 사업으로 밀고 있는 것. 이어 지난해 8월 교체형 배터리 기술 표준과 규격 표준 제정에 나서고 있다. 반면 한국은 전기차 배터리 스왑에 대한 이렇다 할 정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난 1분이면 끝' 전기차 배터리 교체, 게임 체인저 될까?

'난 1분이면 끝' 전기차 배터리 교체, 게임 체인저 될까?

사이트 방문

댓글

4

소니7

Lv 90
22.02.12

기술은 역시 점점 발전하네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시쿠상

Lv 9
22.02.13

중국이 전기차쪽은 더 앞서가는 느낌이네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울트라맨8

Lv 116
22.02.14

1분충전ㄷㄷ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북곽선생

Lv 97
22.05.26

음... 글세요.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c클래스 정보

.

thumbnail
탈퇴자|22.02.12
like-count1
commnet-count3
view-count1,733
22.02.12
자유주제

제네시스GV70 awd 꼭넣어야 될까요??

GV70 구매 예정인데 AWD 옵션 꼭 넣어야 할까요?? 주변에서 넣어야한다는 말이 많기는 한데 2wd는 정말 눈길 빗길에 취약하고 많이 미끄러울까요?? 90% 서울 시내주행용으로 끌고다닐겁니다…

은진나라성현왕|22.02.12
like-count0
commnet-count11
view-count2,101
22.02.12
자유주제

반도체부족으로 바뀌는 인테리어

반도체 부족으로 인해 곳곳에 버튼들의 기능을 디스플레이 하나에 넣어서 하나에 모든 기능을 넣게 되면 단가 높은 칩을 넣어야할꺼고 그렇게 되면 반도체회사들이 공급을 잘주기에 다스플레이하나에 모든 기능을 넣는 형태의 인테리어로 모든브랜드가 갈것 같습니다

탈퇴자|22.02.12
like-count0
commnet-count6
view-count1,631
22.02.12
자유주제

초등학생 사이에서

이제는 다 알고계실 급 나누기 어른들부터 하지맙시다 ^_^ 특히 오너의 리뷰만 가면 있는 벤비아충 그돈이면충들 ㅋㅋㅋㅋ 돈 있으면 다 ~ 한남더힐살고 롤스로이스 람보르기니 타고다니죠~ 굳이 왜 남들이 고민해서 선택한 차량이고 그거에대한 정보공유 게시글에다가 조언인척 자기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척 댓글같지도않은 똥을 싸지르세요 ㅋㅋㅋㅋ 정신들 차리세여~

thumbnail
2022년차살거|22.02.12
like-count1
commnet-count7
view-count1,614
22.02.12
자유주제

3인가족 구매고민

3인가족 세단 뭘 사야할지 고민되네요 오너님들 추천좀 요 ㅠㅠㅠ

탈퇴자|22.02.12
like-count0
commnet-count7
view-count1,142
22.02.12
자유주제

쏘하그래비티 계약후 지쳐서 출고 빠른차 여주어 봐요 ..

도저히 딜러도 답도 없고 기다림에 지치고 현재 운행중인 차량도 12년이 넘어가니 이별이 아주 가깝게 와있는 상황인데 … 출고 빠른 5000~ 맥시멈 5500 미만 차량 현금 일시불 차량으로 머가 있을까요 ??? ( 국산 수입 모두 포함) Suv 로만 보고 있는데 .. 세단 까지 눈을 낮춰야 할까요 ???

새차는진리|22.02.12
like-count0
commnet-count7
view-count1,489
22.02.12
자유주제

반도체랑 오디오랑 상관이 있나?

비엠 자꾸 오디오 빼서 들어오는거 짜증나죽겠네

마이그미|22.02.12
like-count0
commnet-count13
view-count1,438
22.02.12
HOT
자유주제

세차 어떻게들 하시나요?

기존 차는 중고라서 맘 편히 주유소 기름 넣고 할인 쿠폰으로 자동세차 돌렸는데요. 그 횟수 마져다 1년에 한 3번?ㅎㅎ 밝은 차라 티도 잘안나기도 했구요. 그런데 새차를 사니 애정도 키울겸 스월마크(?) 방지겸 손세차를 직접해야하는지(한 번도 안해봐서 망가뜨릴까봐 두렵기도 하고요 ㅠ) 돈과 시간 아끼고 스월마크 심해지면 관리를 한 번 받는게 나을지 고민이네

ssody|22.02.12
like-count0
commnet-count23
view-count1,962
22.02.12
자유주제

벤츠 익스는 자동 세차 문제없나요?

익스는 본닛에 삼각별이 올라와있자나요 주유소에서 자동 기계세차 가능한가요? 곧 익스 출고예정인데 출고일이 다가올수록 미처 생각 못했던 부분이 궁금하네요;;;

영리치|22.02.12
like-count0
commnet-count5
view-count1,738
22.02.12
자유주제

동작 그만, 밑장빼기냐? 테슬라, 사전 공지 없이 반도체&기능 삭제

테슬라도 반도체 부족 문제를 피해가진 못했다. 그동안 테슬라는 자체적인 반도체 수급을 통해 타사 대비 어려움 없이 신차를 판매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배경에는 사전 공지 없이 임의로 부품을 교체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산차를 비롯해 수입 브랜드 등 대다수 제조사들이 반도체 공급 문제로 일부 기능을 빼고 판매하는 ‘마이너스 옵션’ 상품을 내놓고 있

vi|22.02.12
like-count2
commnet-count14
view-count1,328
22.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