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2021년 7월 국산차 판매…'형님 제친 아우' 기아 판매 1위 한판승!

Lv 1

21.08.02

view_cnt

752

7월 국내 완성차 업계는 전년(14만4422대)대비 14.5% 감소한 12만3512대를 판매했다. 반도체 공급난으로 주요 인기 차종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 더불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이어지고 있지만 4차 대유행이 발생함에 따라 소비심리도 얼어붙었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만년 2위인 기아가 현대차에 일격을 날렸고, 국산차 판매 1위로 군림하던 그랜저가 추락하는 등 이변이 이어졌다. 기아는 지난 7월 내수 시장에서 4만8160대를 판매했다. 작년 7월(4만7050대) 대비 2.4% 증가세를 보이며 국산차 판매 1위 자리를 꿰찼다. 현대차와 마찬가지로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에 시달리고 있지만, K5·쏘렌토 등 스테디셀러가 힘을 냈고 K8·스포티지 등 신차효과까지 겹치며 좋은 실적을 거뒀다. 지난달 기아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차는 쏘렌토(6339대)다. 국산차 판매 2위를 기록한 쏘렌토는 올 하반기에도 신차효과가 계속되고 있다. 최근 싼타페도 하이브리드 모델을 출시했지만,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쏘렌토의 뒤는 K8(6008대)이 받쳤다. 이름까지 바꾼 풀체인지 모델 출시 이후 넉 달 연속 월 5000대를 넘기며 순항했다. 이와 더불어 카니발(5632대)이 꾸준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셀토스(3152대) 역시 주춤했지만 세그먼트 1위 자리를 지켰다. 이외 경차 시장 축소 속에서 레이(3325대)가 역주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이와 함께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출시한 K3(3147대)이 세 달 연속 월 3000대를 넘겼다. 현대차는 7월 내수시장에서 전년대비 27.7% 줄어든 4만7906대를 판매했다.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여파와 더불어 일부 공장의 가동 중단으로 신차 고객 인도가 늦어지며 주력 차종 대부분이 크게 부진했다. 지난달 국내 완성차 시장에 그랜저가 7위까지 밀려나는 상황이 발생했다. 7월 그랜저는 5247대에 그치며, 전년대비 63.5%나 대폭락했다. 이는 지난 2019년 9월 페이스리프트 모델 출시 직전에 기록한 4814대 이후 최악의 성적이다. 가장 큰 영향은 아산공장 휴업 때문이다. 지난 6월까지 반도체 부족으로 인해 가동 중단 및 재개를 반복해왔던 아산공장은 지난 7월 13일부로 전기차 생산라인 도입을 위해 문을 닫은 상태다. 이 여파는 같은 공장에서 생산되는 쏘나타에게도 불어닥쳤다. 가뜩이나 K5에 밀렸는데 공장 가동까지 멈추며 3712대까지 후퇴했다. 그 사이 국산차 판매 1위 자리는 포터(8804대)가 차지했다. 그랜저의 추락과 더불어 국산차 판매 톱5에 현대차는 포터뿐이라는 점도 눈에 띈다. 작년 4월 7세대 풀체인지 모델 출시 이후 수 개월간 신차효과를 누렸던 아반떼(5386대) 역시 판매가 크게 줄었고, 새롭게 출시된 아이오닉5(3447대)는 반도체 부족 탓에 판매량을 끌어올리지 못하고 있다. 다만, 싼타페는 지난달 하이브리드 모델 출시 이후 4452대로 반등에 성공했다. 앞서 6월과 비교하면 무려 60.1%나 늘었다. 지난달 싼타페 하이브리드 판매량은 2060대로, 전체 판매량의 46.3%에 육박했다. 7월 제네시스 브랜드는 1만1950대로, 지난해 같은 달(1만1119대)과 비교해 7.4% 낮은 판매량을 보였다. 차종별로는 GV80(2159대)과 신차인 GV70(3792대)이 브랜드 실적을 이끌었지만, G80(5028대)과 G70(616대), G90(355대) 등이 부진했다. 새 주인 찾기에 나선 쌍용차는 7월 5652대를 판매하며, 전년대비 15.7% 낮은 실적을 보였다. 판매 부진과 더불어 생산라인의 1교대제 도입을 통해 공급량 자체도 줄어든 탓이다. 코란도(751대)와 렉스턴(357대)이 극심한 부진을 겪고 있는 사이 티볼리(1716대)와 렉스턴 스포츠(2828대)가 가까스로 버텼다. 쌍용차는 인수전에 기존에 알려진 카디널원모터스(구 HAAH오토모티브), 에디슨모터스, 케이팝모터스, 박석전앤컴퍼니 외에도 국내 재계 30위권의 대기업인 SM그룹 등 총 9개 투자자가 뛰어든 것으로 알려지며 M&A 과정이 달아오르고 있다. 지난달 르노삼성은 전년대비 21.3% 감소한 4958대를 판매했다. 국산차 판매 최하위 탈출에는 성공했지만, 이는 르노삼성의 선전이 아닌 한국GM의 부진 탓이다. 약 3개월 만에 월 5500대를 넘기며 회복세를 보였던 6월 실적(5610대)과 비교하면 11.6%나 줄었다. QM6(3189대)의 판매량이 크게 늘어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상은 지난해 같은 달 2538대에 그쳤던 것에 대한 기저효과에 불과하다. 끝없는 부진을 겪고 있는 XM3(1280대)는 이제 월 1000대를 걱정해야 할 처지다. 이외 SM6(202대), 르노 캡처(101대), 르노 마스터(57대) 등 라인업 전반에 걸쳐 극심한 부진을 겪고 있다. 이제 르노삼성에게 남은 희망은 XM3 수출 뿐이다. 지난달 르노삼성의 XM3 수출량은 4863대로 국내 판매량의 4배에 달한다. 한국GM은 전년대비 30.1% 줄어든 4886대를 기록하며 국산차 판매 최하위로 내려갔다. 지난 6월 반짝 실적을 기록하며 꼴찌 탈출에 성공했지만, 하반기 들어 다시 수렁에 빠진 모양새다. 이는 트레일블레이저가 주춤했기 때문이다. 트레일블레이저는 앞서 6월 11개월 만에 2400대를 넘기며 좋은 실적을 남겼지만, 7월 1991대에 그치며 다시 월 2000대 아래로 주저앉았다. 수입 모델로는 트래버스(308대)와 볼트EV(69대)가 주춤한 사이 콜로라도(548대)가 반짝 실적을 보였다.
2021년 7월 국산차 판매…'형님 제친 아우' 기아 판매 1위 한판승!

2021년 7월 국산차 판매…'형님 제친 아우' 기아 판매 1위 한판승!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쌍용차, 스페셜 모델 '렉스턴 마스터' 출시…사륜구동·인테리어팩 등 기본

쌍용차가 고객 선호도가 높은 편의사양을 기본 적용하고 상품성을 강화한 스페셜 모델 '올 뉴 렉스턴 마스터'를 출시했다. 신차는 프레스티지 모델을 기반으로, 브라운 인테리어 패키지와 블랙 헤드라이닝, 플로팅 무드스피커를 적용해 고급스러운 실내 공간을 연출했다. 더불어 렉스턴 더 블랙 모델에만 적용된 블랙 스웨이드 퀼팅 인테리어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21.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4
21.08.03
자유주제

[이달의 신차] '파격' 스포티지와 'N맛' 아반떼, 그리고 '혜자' 티구안

7월 국내 자동차 시장에는 무려 11종의 신차가 쏟아졌다. 우선 현대차는 아반떼와 코나 기반 고성능 N 모델을 동시에 출격시켰고, 투싼에 N라인을 더했다. 기아는 신형 스포티지를 투입해 SUV 시장점유율 확대에 나섰고, 제네시스도 브랜드 첫 전기차를 출시했다. 수입차 시장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 EQA, 폭스바겐 티구안,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등 각 브랜드 전

|21.08.0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3
21.08.02
자유주제

대법, '배출가스 조작' 한국닛산 벌금 1000만원 확정

대법원이 한국닛산의 배출가스 인증 서류 조작에 대한 벌금형을 확정했다. 대법원은 3일 자동차관리법 등 위반 혐의로 기소된 한국닛산의 상고심에 대해 벌금 1000만원을 선고한 2심을 최종 확정했다. 앞서 한국닛산은 자동차 배출가스와 연비 시험 성적서 등을 조작해 국내 인증을 통과한 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지난 2016년 닛산 캐시카이에 배출가

|21.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7
21.08.03
자유주제

신형 스포티지, 10년간 1000만원 올랐다…투싼·싼타페·쏘렌토는?

국산차의 가격 상승세가 무서울 정도다. 신차가 나올 때마다 조금씩 올라간 가격은 수백만원을 넘어 어느새 1000만원에 육박한다. 제조사에서는 ‘신기술을 적용해 가격 인상 폭을 최소화했다’라거나, ‘상품성을 보강해 사실상 가격 인하 효과가 있다’며 핑계를 대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좀처럼 와닿지 않는다. 지난달 20일, 기아 신형 스포티지가 출시됐다. 하루

|21.07.2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4
21.07.23
자유주제

[7월 수입차 TOP50] 1억 넘는 S클래스가 판매 3위…연 1만대 정조준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가 세 달 만에 수입차 판매 1위 자리를 되찾은 가운데 브랜드 플래그십인 S클래스의 기세가 매섭다. 3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지난 7월 수입차 신규등록대수는 전년대비 26.4% 늘어난 2만4885대를 기록했다. 차종별 판매 1위는 2567대를 기록한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가 차지했다. E클래스는 지난 5월과 6월 두

|21.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16
21.08.03
자유주제

콘티넨탈, 내년부터 재활용 페트병으로 타이어 만든다

콘티넨탈이 내년부터 타이어 제작에 재활용 페트병을 이용한다. 콘티넨탈은 재활용 플라스틱병을 처리해 얻은 폴리에스터 소재를 타이어 생산 시 사용하겠다고 3일(독일 현지시간) 밝혔다. 재활용을 통해 만들어진 재료는 기존 폴리에스터 소재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으며, 타이어 골격인 카카스(Carcass) 제작에 활용된다.  콘티넨탈은 이를 위해 섬유 전문 업체

|21.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9
21.08.03
자유주제

전기차를 살 때 가장 중요한 것은?…1위 주행거리, 의외의 2위는 바로 이것!

전기차 시장의 경쟁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다. 올 하반기 기아 EV6와 제네시스 GV60(JW)를 비롯해 쉐보레 볼트 EUV, 메르세데스-벤츠 EQS, 아우디 RS e-트론 GT, 폴스타 2 등이 출격을 기다리고 있다.  그렇다면 전기차를 선택할 때, 소비자들이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무엇일까. 모터그래프 독자들에게 7월 15일부터 31일까지 홈페이지

|21.08.0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28
21.08.03
자유주제

[스파이샷] 토요타 GR야리스 익스트림, 3기통 엔진으로 300마력?

토요타 GR야리스 고성능 버전이 최근 독일 뉘르부르크링 서킷에서 포착됐다. 이번에 목격된 차량은 GR야리스 익스트림 모델로 알려졌다. 트랙 주행에 특화된 고성능 기술을 바탕으로 기존 GR야리스보다 더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전반적인 외관도 기존 GR야리스보다 강인한 모습이다. 전륜 휠아치에 거대한 에어 인테이크가 자리잡고 있으며, 2단 리어 스포일러

|21.08.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7
21.08.04
자유주제

다임러AG, '메르세데스-벤츠그룹'으로 새출발…다임러트럭 사업 분할

다임러AG가 그룹명을 변경하고 상용차 사업부를 물적 분할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한다.  우선 기존에 쓰던 다임러AG 명칭을 메르세데스-벤츠그룹으로 바꾼다. 상용차 부문 다임러트럭AG는 내년 상반기 중 독일 증권 시장에 분리 상장시킬 계획이다. 새로운 상용차 법인의 지분 구조는 메르세데스-벤츠그룹 35%, 기존 주주 65%이다. 기존 다임러AG 주주들은 주당

|21.08.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6
21.08.04
자유주제

기아, 미국서도 현대차 추월…제네시스, 3개월 연속 판매 신기록

현대기아차가 미국 시장에서 가파른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와 함께 제네시스 브랜드도 역대 최다 월 판매 기록을 경신했다.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7월 미국 판매량은 전년대비 29% 증가한 14만3779대를 기록했다. 2021년 1~7월 누적 판매 실적은 94만8723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9%나 늘었다.  현대차는 작년 7월보다 19% 증가

|21.08.04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4
21.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