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홍치 S9, 이제 무시할 수 없는 '대륙의 하이퍼카'

Lv 1

21.08.12

view_cnt

1,372

새로운 대륙의 하이퍼카가 등장했다. 실크-FAW가 오는 9월 이탈리아 밀라노 디자인위크에서 S9 양산 모델을 최초로 선보인다고 11일 밝혔다. 실크-FAW는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실크EV와 중국 제일자동차그룹(FAW)이 함께 만든 미·중 합작 스타트업이다. S9은 앞서 2021 오토상하이에서 쇼카 형태로 공개된 하이퍼카이며, 홍치 브랜드로 출시된다. 전반적인 외관은 안정감을 추구했다. 공기 흐름을 고려한 스플리터 형상을 비롯해 유려하면서도 절제된 느낌을 강조한다. 루프는 더블 버블 타입으로 설계됐고, 그 사이로 루프 스쿠프가 자리함에도 과장되지 않았다. 홍치 브랜드를 상징하는 중앙의 붉은 선을 제외하면 흡사 이탈리안 스포츠카를 연상시킨다. 후면부도 최근 출시된 하이퍼카와 살짝 다른 맛이다. 롱 테일 형태로 길게 뻗은 리어 오버행은 클래식한 느낌이고, 기교 없이 반듯하게 디자인된 램프와 디퓨저 등은 1990년대 르망에서 활약했던 레이스카를 연상시킨다.  파워트레인은 880마력을 내는 4.0리터 V8 엔진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이 결합된다. 총 시스템 출력은 1400마력에 달하며, 정지상태에서 100km/h까지 1.9초 만에 주파한다. 최고속도는 400km/h를 넘어설 전망이다.  차량 개발에 관여한 인물들도 범상치 않다. 디자인은 폭스바겐그룹을 이끌었던 발터 드 실바가 담당했다. BMW와 페라리에서 기술총괄을 역임한 로베르토 페델리가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았고, 페라리 엔지니어링 총괄과 맥라렌 및 람보르기니 CTO 출신의 카를로 델라 카사가 제품 개발을 주도했다. 여기에 페라리 전 CEO 아메데오 펠리사도 고문으로 합류했다.  미·중 합작회사이지만, 생산 시설 및 연구개발센터는 이탈리아에 마련된다. 볼로냐 북서쪽 레지오에밀리아에 이미 부지를 확보했고, 2023년 가동을 목표로 올해 말부터 공사가 시작된다. 해당 지역은 람보르기니, 마세라티, 두카티 등 세계적인 오토메이커 공장이 위치해 '모터밸리'로도 불린다. 
홍치 S9, 이제 무시할 수 없는 '대륙의 하이퍼카'

홍치 S9, 이제 무시할 수 없는 '대륙의 하이퍼카'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삼성, 자율주행차 전용 세라믹 축전기 개발…"부피 줄이고, 성능 높였다"

삼성전기가 자율주행차량을 위한 전장용 적층 세라믹 축전기(MLCC) 2종 개발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삼성이 새롭게 개발한 제품은 기존 대비 설계 면적을 64% 줄인 소형화 모델 '0603'과 고용량 전력에 대응할 수 있는 '3216' 등이다. 이는 자동차 전자제어장치(ECU)에 탑재돼 주변으로부터 유입되는 신호 잡음을 차단하고, 차량의 정

|21.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4
21.08.12
자유주제

[포토] "크~ 주모!" 람보르기니 아벤타도르S 코리안 스페셜 시리즈 공개

람보르기니가 12일 한국 고객만을 위해 제작한 한정판 모델 '아벤타도르S 로드스터 코리안 스페셜 시리즈'를 공개했다. 신차는 람보르기니 디자인센터와 람보르기니서울의 협업을 통해 탄생했다. 보닛과 도어 패널, 리어 펜더 등에 전통 창호 무늬에서 영감을 얻은 격자 패턴을 적용했고, 보닛에는 태극기의 건·곤·감·리를 형상화한 디자인이 새겨졌다.  외장 컬러도

|21.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3
21.08.12
자유주제

안전속도 5030, 교통사고 사망자 12.6% 감소

안전속도 5030 정책이 시행된 후 교통사고 사망자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와 경찰청, 교통안전공단 등은 전국 단위에서 시행되고 있는 안전속도 5030 정책의 효율성 조사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지난 100일간 교통사고 사망자 외에도 사고 통계와 통행 속도 감소율, 제한속도 준수율 등을 공개했다. 5030 적용 지역

|21.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5
21.08.12
자유주제

635마력' BMW M5 CS 국내 출시…2억580만원, 14대 한정 판매

BMW코리아가 12일 M5 CS 출시를 예고했다. 신차는 M5 최초로 선보이는 CS 모델이다. 파워트레인 성능을 높이고 차체 중량을 덜어낸 신차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M5다. 외관은 GT 레이스카를 연상시키는 전용 디자인들이 적용됐다. 주간주행등에는 전조등 및 웰컴라이트 점등 시 노란 빛을 발산하는 기능이 더해졌고, 키드니 그릴과 앞 펜더에 부착된 CS

|21.08.1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363
21.08.12
자유주제

애스턴마틴, '1155마력' 발키리 스파이더 공개…뚜껑 열고 330km/h!!

애스턴마틴이 하이퍼카 발키리의 컨버터블 모델인 발키리 스파이더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발키리 스파이더는 오는 15일 미국 페블비치에서 개최될 콩쿠르 델레강스(Concours d'Elegance)에서 실물을 드러낼 예정이다. 신차는 지난 2019년 데뷔한 발키리 쿠페를 기반으로, 미드십 엔진과 오픈 톱 방식이 적용되며 F1 레이싱 머신과 가장 흡사한 주행 경

|21.08.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2
21.08.13
자유주제

혼다, 아큐라 인테그라 부활…'16년만의 귀환'

혼다 프리미엄 브랜드 아큐라가 13일 인테그라 부활을 공식화했다. 단종된지 16년만이다. 인테그라는 1986년부터 2006년까지 4세대에 걸쳐 생산된 전륜구동 2도어 쿠페다. 1~2세대는 혼다 브랜드로 판매됐다. 이어 3~4세대는 아큐라로 세계 시장에 수출됐다. 특히 3세대 기반 고성능 타입-R은 애니메이션 이니셜D에 등장해 유명세를 탔고, 실제로도 뛰어

|21.08.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2
21.08.13
자유주제

아우디코리아, A4·A5·A6·A7 출고 중단…올해만 두번째

아우디코리아가 A8을 제외한 세단 라인업의 신차 출고를 중단했다.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아우디코리아는 이달 9일부터 A4, A5, A6, A7 등 주요 세단 라인업의 고객 인도 중단을 결정했다. 앞서 4월에 이어 올해 두 번째 출고 중단이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측은 "아우디 브랜드의 일부 차종 출고가 지연되고 있는 상태인게 맞다"며 "문제 해소를 위

|21.08.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9
21.08.13
자유주제

[스파이샷] 차세대 혼‎다 CR-V "이거 그릴이 투싼 닮았네!"

혼다 6세대 CR-V가 이달 11일 유럽에서 포착됐다. 시험주행차량의 전반적인 차체 형태는 현행 CR-V보다 무난한 색채가 입혀졌다. 반면, 범퍼와 그릴 등 형태는 11세대 시빅과 2세대 HR-V 등에서 선보인 새로운 브랜드 디자인 언어를 따르고 있다. 앞서 출시된 어코드 등과 비슷한 모양의 헤드램프 및 그릴 외형이 채택됐으며, 현대차 투싼과도 비슷한 날

|21.08.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92
21.08.13
자유주제

대륙의 테슬라' 니오 CEO "가격경쟁력 갖춘 새로운 전기차 브랜드 출범"

중국 프리미엄 전기차 회사 니오(NIO)가 새로운 대중 브랜드를 출범한다. 니오 윌리엄 리 CEO는 12일 개최된 2분기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새로운 브랜드를 출범할 계획"이라며 "니오와 새로운 브랜드의 관계는 아우디-폭스바겐 혹은 렉서스-토요타처럼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발언은 새롭게 출시하는 브랜드의 성격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기존 고가

|21.08.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7
21.08.13
자유주제

기아 임금협상 재개…사측 "기본급 7만원·성과금 200%+350만원 등" 제시

기아 노사가 약 3주 만에 2021 임금협약(임협) 협상 테이블에 다시 마주 앉았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기아지부에 따르면, 노사는 12일 제 9차 본교섭을 진행했다. 이날 사측은 올해 처음으로 임금 제시안을 전달했다. 사측 제시안에는 기본급 7만원 인상, 성과금 200%+350만원, 품질 향상 격려금 230만원, 재래시장 상품권 10만원 지급, 주간 연속

|21.08.13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1
21.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