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전기차 못 팔면 수백억 벌금 폭탄? "당장은 괜찮지만 내년부터는..."

Lv 1

22.01.24

view_cnt

953

정부가 무공해차를 적게 판매하는 브랜드에게 기여금을 받겠다고 나서자, 국내 자동차 업계가 '초 긴장 상태'에 들어갔다. 브랜드에 따라 적게는 수십억에서 많게는 수백억원까지 벌금성 기여금을 내야 할 처지가 됐기 때문이다. 지난 21일, 정부는 국내에서 올해부터 전기차와 수소차 등 무공해차 판매량이 일정 비율을 넘지 못할 경우 대당 60만원의 기여금을 받기로 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최근 3년간 평균 10만대 이상을 판매한 회사는 전기·수소차 비율이 12%, 2만대~10만대를 판매한 회사는 8%를 넘겨야 한다. '기여금'이라는 이름이지만, 업계는 사실상 과태료나 다름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더욱이 기여금 액수는 점점 늘어 6년 후에는 대당 300만원까지 늘어나는 만큼, 업체의 부담은 갈수록 커질 예정이다. 작년 판매량을 기준으로 계산할 경우 올해 현대차(제네시스 포함)가 내야 할 기여금은 124억원, 기아 147억원, 쌍용차 27억원, 르노삼성 23억원, 한국GM 20억원 등으로 추정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아직 전기차 수익성이 확보되지 않았는데,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기여금을 부과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무공해차 비율을 맞추기 위해 내연기관 판매량을 일부러 떨어뜨리는 '꼼수'가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측은 업체가 당장 막대한 기여금을 낼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무공해차를 일정 비율 이상 팔지 못하더라도 이를 다른 저공해차로 채우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는 설명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아직 법제화가 완료되지는 않았지만, 저공해차 보급 목표 초과 달성분으로 부족한 무공해차 보급 실적을 상쇄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라며 "전기차와 수소차를 팔지 못 하더라도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를 비롯해 LPG와 가솔린 등으로 메꾸는게 가능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정부는 '무공해차' 보급 목표제와 더불어 '저공해차' 보급 목표제도 운영하고 있다. 저공해차 보급 목표는 20%로, 초과 달성한 만큼 부족한 무공해차 판매 실적을 만회해주겠다는 것이다. 특히, 저공해차는 전기차·수소차 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플러그인하이브리드와 저공해 인증을 받은 LPG 및 가솔린 차량도 해당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충족하기 수월하다. 즉, 당장 팔고 있는 전기차가 없는 쌍용차도 3종 저공해 인증을 받은 티볼리, 코란도 등 가솔린 SUV 라인업을 내세워 기준을 맞출 수 있다는 뜻이다. 쌍용차의 경우 2020년 전동화 라인업이 전무한 상황에서도 당시 저공해차 보급 목표인 15%를 달성했다. 당시 환경부가 발표한 초과 대수는 8207대로, 올해 목표치인 20%도 충분히 채울 수 있는 수준이다.  다만, 환경부는 2023년부터 저공해차 판매 목표 제도에서 LPG와 가솔린, 하이브리드를 제외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아직 내년 목표치가 발표되지 않았고 산업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 단계가 남아있지만, 만약 제외된다면 전동화 라인업이 약한 회사는 목표량을 채우기 어려워진다. 이에 대해 환경부 측은 "무공해차 초과 달성분을 다음해로 이월하거나, 목표를 달성한 제조사와 초과분을 적정한 가격으로 거래하게 할 수 있게 해 놓아 실제 '기여금 폭탄'을 맞을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전기차 못 팔면 수백억 벌금 폭탄? "당장은 괜찮지만 내년부터는..."

전기차 못 팔면 수백억 벌금 폭탄? "당장은 괜찮지만 내년부터는..."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벤츠코리아 "작년 온라인으로 500대 판매, 올해는 서비스 예약·결제까지"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25일 신년맞이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신차와 인증 중고차 판매에 이어 서비스 예약 및 비용 결제까지 온라인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벤츠코리아는 작년 9월 인증 중고차를 시작으로 10월 신차까지 온라인 샵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올해는 이를 더욱 확대해 다양한 상품 및 서비스까지 편리하게 구매하도록 한다는 목표이다. 특히,

|22.01.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53
22.01.25
자유주제

"클래식 미니, 전기차로 바꿔드려요" 개조비 1700만원, 원상복구도 가능

미니 브랜드가 전동화 시대에 걸맞은 독특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클래식 모델에 전기 파워트레인을 이식하는 '더 미니 리차지(The MINI Recharged)' 프로젝트가 주인공이다. 앞서 미니는 지난 2018년 뉴욕 오토쇼에서 클래식 미니 모델을 전기차로 개조한 콘셉트카를 공개했다. 이는 신형 미니 일렉트릭 홍보를 위한 특수제작 차량에 불과했으나, 고객

|22.01.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2,172
22.01.25
자유주제

현대차, 사상 첫 110조 매출 달성 "SUV·전기차·제네시스가 해냈다"

현대차가 25일 서울 양재동 본사에서 2021년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진행했다. 2021년 전체 실적은 전년대비 3.9% 늘어난 389만726대다. 국내에서는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7.7% 줄어든 72만6838대를 기록했지만, 수출은 친환경차를 앞세워 7.0% 증가했다. 매출액은 117조6106억원로, 13.1% 상승했다. 2019년 이후 3년 연속 1

|22.01.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7
22.01.25
자유주제

발등의 불' 르노, 전기차 예산 3배 껑충…2030년까지 30종 쏟아낸다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가 전동화에 박차를 가한다. 당장 관련 예산을 3배 이상 증액해 본격적인 전기차 공동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2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세 회사가 향후 5년간 전기차 부문에 200억유로(한화 27조원)를 추가로 투입할 것이라 보도했다. 작년 발표한 투자금(100억 유로)을 더하면 투자 금액은 총 300억유로에 달한다. 

|22.01.2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0
22.01.25
자유주제

추우면 계기판이 뒤집힌다고? 현대차 싼타페, 어이없는 리콜

현대차 싼타페가 다소 황당(?)하게 리콜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국토교통부는 21일 싼타페 1925대를 리콜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2021년 10월~12월 생산된 내연기관 모델 753대와 하이브리드 1172대가 대상이다. 해당 차량은 계기판 제조 불량으로, 특정 상황에서 계기판 화면이 상·하로 반전되는 결함이 드러났다. 특히, 계기판에 표시되는 외

|22.01.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400
22.01.21
자유주제

쉐보레 트래버스 페이스리프트, 최고급 '하이컨트리'도 나온다

한국GM이 신형 쉐보레 트래버스의 외장 이미지를 공개하고, 오는 26일부터 사전계약에 돌입한다고 21일 밝혔다.  신차는 2019년 국내에 출시된 2세대 트래버스의 부분변경 모델이다. 한층 업그레이드된 내외관 디자인과 편의사양이 적용됐고, 국내 시장에 첫 선을 보이는 최상위 트림 '하이컨트리'를 추가됐다.  전반적인 외형은 기존 모델보다 디테일을 강화하

|22.01.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2
22.01.21
자유주제

국토부, 지프·BMW·혼다·아우디·테슬라 등 수입차 2만7167대 리콜

국토교통부가 스텔란티스코리아, BMW코리아, 혼다코리아, 테슬라코리아, 만트럭버스코리아 등에서 수입·판매한 2만7167대를 리콜한다고 21일 밝혔다. 우선, 스텔란티스코리아는 엔진 제어장치 소프트웨어 결함이 확인된 지프 체로키 3734대, 레니게이드 3150대, 컴패스 894대와 피아트 500X 283대, 크라이슬러 200 991대 등 총 9052대를 리

|22.01.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25
22.01.21
자유주제

BMW 'M4 KITH'가 뭐길래? 경쟁률 2만5000대 1…'초특급 한정판'

BMW와 스트릿 브랜드간의 협업으로 탄생한 한정판 M4가 등장해 마니아들에게 큰 인기를 모았다. 화제의 차량은 지난 11일 BMW코리아가 국내에 단 4대만 출시한 M4 컴페티선 x KITH 드로우(이하 M4 KITH)다. 뉴욕의 스트릿 브랜드 KITH와 협업을 통해 탄생된 모델로, 특유의 감성을 담은 전용 디자인을 곳곳에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보닛,

|22.01.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75
22.01.21
자유주제

"신장에 전시장이라니"…테슬라에 뿔난 미국 정치권

중국 신장 지역에 전시장을 개소한 테슬라가 비판에 직면했다. 백악관에 이어 의회 차원의 메시지도 나왔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워싱턴 정치권은 지난달 말 중국 우루무치에 전시장을 개소한 테슬라에 대한 비판 성명을 이어가고 있다. 신장 위구르 지역의 인권 탄압 문제를 외면했다는 입장이다.  가장 먼저 포문을 연 건 백악관

|22.01.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17
22.01.21
자유주제

[스파이샷] 차세대 BMW M2, 후륜+수동 조합으로 연내 출격

지난 19일(현지시간) 스칸디나비아반도 설원에서 차세대 BMW M2 시험주행 차량이 목격됐다.  이날 포착된 모델은 이전에 포착된 모델들보다 위장막을 한겹 덜어낸 모습이다. 기반이 된 2시리즈 쿠페가 출시된 데다, 주요 디자인 포인트들이 드러난 만큼, 일부 디자인을 유추할 수 있을 정도다. 전반적인 외형은 2시리즈 쿠페보다 한층 공격적이다. 라디에이터

|22.01.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10
22.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