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애스턴마틴, '괴물 SUV' DBX707 공개…하반기 국내 출격!

Lv 1

22.02.04

view_cnt

1,432

애스턴마틴이 DBX707을 공개했다. 기존 DBX의 능력을 최상으로 끌어올린 모델로, 최고출력은 707마력에 달한다.  신차는 애스턴마틴 엔지니어링 팀이 기존 4.0리터 트윈터보 V8 엔진을 재설계 및 업그레이드해 새롭게 태어났다. 마찰이 적은 볼베어링 터보엔진을 채택해 터보랙을 줄였고, 이를 통해 최고출력은 기존대비 157마력 향상됐다. 최대토크는 20.4kg·m 높아진 91.8kg·m에 달한다.  한층 강력해진 심장은 새로운 9단 습식 클러치 변속기와 맞물린다. 기존의 토크 컨버터 변속기를 대체하는 새로운 변속기는 기어 매칭이 더욱 빠르고, 응답성도 높아져 운전자의 차체 제어 능력을 개선했다. 이를 통해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는 단 3.3초 만에 도달한다. 광범위한 엔지니어링 업그레이드에 발맞춰 내·외관도 개선됐다. 우선, 전면 디자인은 럭셔리 SUV의 존재감은 높이고, 드라이빙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성까지 추가했다. 프론트 그릴은 더 커졌으며 새로운 공기 흡입구, 브레이크 냉각을 위한 덕트, 프런트 스플리터 및 주간주행등(DRL)을 새로 디자인해 DBX의 최상위 모델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6개의 그릴 라인에 새틴 크롬 라인도 교차 배치했다. 새로운 립 스포일러가 추가된 루프 윙은 다운포스를 높여 고속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후면에는 한층 커진 쿼드 배기구에 맞춰 트윈 디퓨저도 새로 디자인해 강인함을 더했다. 실내에서는 새로워진 센터 콘솔이 가장 눈에 띈다. 콘솔 상단에 추가된 다이얼로 드라이브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콘솔 좌우에 서스펜션 모드부터 ESP, 액티브 배기사운드 등 다양한 기능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DBX707은 영국 웨일스에 위치한 애스턴마틴 세인트 아탄(St. Athan) 제2공장의 DBX 전용 설비에서 생산된다. 국내 출시는 올해 하반기로 예정됐다.
애스턴마틴, '괴물 SUV' DBX707 공개…하반기 국내 출격!

애스턴마틴, '괴물 SUV' DBX707 공개…하반기 국내 출격!

사이트 방문

댓글

1

북곽선생

Lv 97
22.05.28

잘보고 갑니다~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에디슨, 쌍용차에 운영자금 300억 대여…법정관리인 두고 첨예한 대립

에디슨모터스가 인수 계약에 따라 쌍용차에게 운영자금 300억원을 빌려줬다. 인수와 관련해 양측이 첨예한 갈등을 겪고 있는 상황임에도 운영자금 대여가 약속대로 이뤄져 쌍용차의 숨통이 조금 트이게 됐다.   에디슨모터스 산하 에디슨EV(구 쎄미시스코)는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지난달 10일 체결한 쌍용차 M&A를 위한 투자계약에 따라 운영자

|22.02.04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1,051
22.02.04
자유주제

대형 SUV 끝판왕'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롱바디 출격…'전장이 무려 5.8m'

캐딜락코리아가 대형 SUV인 에스컬레이드 라인업 강화에 나선다.  환경부에 따르면, 캐딜락코리아는 지난달 28일 에스컬레이드 ESV의 배출 및 소음 인증을 완료받았다. ESV는 에스컬레이드 기반의 롱휠베이스 모델로, 한층 여유로운 거주 공간과 적재 용량을 겸비한 모델이다.  에스컬레이드 ESV의 전장은 5766mm에 달한다. 기존 에스컬레이드(5380m

|22.02.04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38
22.02.04
자유주제

[스파이샷] BMW 신형 7시리즈 "파격 변신, S클래스 잡는다"

최근 독일에 위치한 BMW그룹의 한 연구시설 인근 공공도로에서 차세대 BMW 7시리즈 시험주행 차량이 포착됐다.  이날 목격된 차량은 이전보다 위장막을 한겹 덜어낸 모습이다. 신차가 올해 중 베일을 벗을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대부분의 실루엣이 드러나 범퍼 등 주요 디테일을 유추할 수 있을 정도다. 외신들은 신형 7시리즈가 1977년에 공개된 1세대 7시

|22.02.04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89
22.02.04
자유주제

미국 정부, 결국 테슬라에 SOS "반도체 문제 좀 도와줘"

미국 정부가 냉랭한 관계를 유지해왔던 테슬라에 손을 내밀었다. 반도체 공급난 해결을 위한 목적이다.  지나 라이몬도 미국 상무장관은 최근 3일(현지시간) 미국 CNBC와 인터뷰를 갖고, 자동차 업계의 반도체 수급난 문제 해결을 위해 테슬라와 대화하길 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반도체 공급 문제는 특정 기업만의 사안이 아니기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22.02.04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08
22.02.04
자유주제

2022년 1월 국산차 판매…새해 첫 베스트셀링카는 G80!

새해 첫 달 국내 완성차 업계는 전년(11만6270대) 대비 19.2% 감소한 9만3900대를 판매했다. 기아가 6개월 만에 현대차 월 판매량을 넘어섰고, 제네시스 G80이 사상 첫 베스트셀링카 자리에 오르는 등 이변이 속출했다. 기아는 1월 한 달간 3만7038대를 판매하며, 작년 7월 이후 6개월 만에 현대차를 제치고 1위 자리에 올랐다. 비록 베스

|22.02.04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28
22.02.04
자유주제

[1월 수입차 TOP50] BMW·벤츠 희비교차!…독일차에 반기 든 대항마는?

2022년 첫 달 수입차 시장은 독일차 강세가 지속된 가운데 반기를 든 차종들이 속속 등장했다.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1월 수입차 신규등록대수는 전년대비 18.9% 감소한 1만7817대를 기록했다. 반도체 공급난으로 수입차 시장이 전반적으로 위축된 가운데, 설날 연휴로 인한 일부 신차 출고가 연기됐다.  1월 브랜드 판매 1위는 BMW(5

|22.02.04
like-count2
commnet-count1
view-count1,595
22.02.04
자유주제

벤츠코리아, '배출가스 조작' 과징금 202억…"거짓·기만 광고"

환경부에 이어 공정거래위원회도 배출가스 조작 혐의가 드러난 메르세데스-벤츠에게 철퇴를 내렸다. 공정위는 6일 "경유차의 배출가스 저감 성능을 사실과 다르거나 기만적으로 표시·광고한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와 메르세데스-벤츠AG에 대해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202억원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라고 밝혔다. 앞서 벤츠는 디젤 승용차가 인증 시험 환경에서만 배출가

|22.02.07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694
22.02.07
자유주제

[이완 칼럼] 테슬라의 독일 침공, 폭스바겐 골프의 몰락

독일의 2019년 신차 판매량은 약 360만대였습니다. 시장은 계속 성장 중이었고, 2020년은 별다른 일만 없다면 연간 판매량이 처음으로 400만대를 넘기는 해가 될 것으로 예상했죠. 하지만 팬데믹으로 2020년 신차 판매량이 300만대를 넘기지 못한 것은 물론, 이듬해인 2021년에는 반도체 칩 부족이라는 복병을 만나며 판매량이 더 줄어 260만대를 겨

|22.02.07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55
22.02.07
자유주제

기아, 국내 최초 '1인승 레이' 출시…적재 공간이 무려 1628리터

기아가 8일 다목적 모델로 활용이 가능한 '레이 1인승 밴'을 출시했다. 레이 1인승 밴은 국내 최초 1인승 차량으로, 특수차량을 제외하고 국내 승상용 모델 중 1인승으로 인증받은 것은 레이가 처음이다. 레이 1인승 밴은 사용자의 목적과 취향에 따라 물류 운송 및 이동식 스토어, 레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회사는 "소규모 물

|22.02.0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23
22.02.08
자유주제

사드 폭락' 기아, EV6 앞세워 중국 공략…2027년까지 전기차 6종 출시

사드(THAAD) 논란 이후 중국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던 기아가 현지 사업체의 경영 구조를 재편하고 재도약에 나선다. 또, EV6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6종의 전용 전기차 라인업도 구축할 예정이다.  기아는 7일 중국 장쑤성 옌청시와 투자 확대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을 통해 기아는 옌청시의 지원을 받아 친환경차 라인업을 강화하고 수출 확대

|22.02.08
like-count0
commnet-count1
view-count899
22.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