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英, 27년 만에 '빅스텝'..스태그플레이션 시대 진입 선언

울트라맨8

Lv 116

22.08.05

view_cnt

1,188

세계 3대 중앙은행 중 하나로 꼽히는 영국 영란은행(BOE)이 영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시대에 돌입했다고 공식 선언했다. 향후 장기간에 걸친 경기 불황을 피할 수 없는 가운데서도 물가 상승이 동시에 일어나는 상황을 피할 수 없다고 예측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 영란은행은 27년 만에 ‘빅 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기준 금리를 대폭 인상하는 것이 경기 침체를 부를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더 크고 장기간 이어질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선 두 자릿수 물가 급등세를 막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英 기준금리, 200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양적긴축 돌입=영란은행은 4일(현지시간) 통화정책위원회(MPC)에서 기준금리를 1.25%에서 1.75%로 0.5%포인트 올리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영란은행이 기준 금리 ‘빅 스텝’을 밟은 것은 1995년 2월 이후 27년 만에 처음이다. 앞서 지난달 앤드루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는 이달 MPC에서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할 수 있다고 시사한 바 있다. 이날 인상으로 영국의 기준금리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게 됐다. BOE 정책위원 9명 중 8명이 0.5%포인트 인상에 동의했고, 1명이 0.25%포인트 인상이란 소수의견을 냈다. 영란은행은 지난해 12월 세계 주요국 중앙은행 중 가장 먼저 움직인 이후 이번까지 6차례 연속 금리를 올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후 사상 최저 수준인 0.1%로 떨어진 금리를 처음엔 0.15%포인트 올렸고, 이어 0.25%포인트씩 인상했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과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로 영국 경제가 금리 인상을 버텨낼 체력이 떨어진 상황에서 성장 동력을 훼손할까 봐 완만한 속도로 인상을 단행한 것이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가파른 물가 상승세에 영란은행이 늑장 대응을 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유럽중앙은행(ECB)도 적극 행동에 나서자 금리 인상에 속도를 올린 것”이라고 평가했다.
英, 27년 만에 '빅스텝'..스태그플레이션 시대 진입 선언

英, 27년 만에 '빅스텝'..스태그플레이션 시대 진입 선언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나토 "우크라전 장기화 대비해 방산업체 긴밀 협력 중"

옌스 스톨텐베르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이 4일(현지시간) "우리는 더 많은 종류의 탄약과 무기, 역량을 갖추고 보다 많이 생산하기 위해 방산업체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스톨텐베르그 총장은 이날 노르웨이 노동당원 대상으로 열린 연설에서 "우리는 많은 지원을 하고 있지만 장기전에 대비하기 위해 보다 많은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0
22.08.05
자유주제

연준 간부들 잇달아 공격적 금리인상 주장하고 나서

미국 연준 간부들이 인플레이션과 싸움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당분간 연준이 공격적 금리인상을 계속해야 한고 주장하고 나섰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지난 7월 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9월 FOMC에서 금리인상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말하고, 이후 발표된 2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추정치가 2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49
22.08.05
자유주제

中 왕이, 아세안 만찬 행사 불참..대만 갈등 의식한 듯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ASEAN) 외교장관회의 참석 차 캄보디아를 방문 중인 중국 왕이(王毅) 외교부장이 4일에 있었던 외교장관 만찬장에 들어갔다가 곧바로 퇴장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 등이 보도했다. 만찬 행사장에 있던 목격자들에 따르면 왕 부장은 이날 저녁 프놈펜에서 열린 만찬에서 다른 외무장관들과 별다른 교류없이 홀로 차량을 탄 채 행사장을 빠져나가는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8
22.08.05
자유주제

스티븐 로치 "펠로시 대만 방문, 미중관계 티핑포인트 될 수도"

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 스티븐 로치 예일대 교수는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지난 2~3일 대만 방문이 그간 불안했던 미국과 중국 관계에 있어 되돌릴 수 없는 시점인 '티핑포인트'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로치 교수는 4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기고문을 통해 "현재 중국의 시험 미사일이 비행하는 상황에서 대만 긴장의 불꽃은 이 연료를 빠르게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1
22.08.05
자유주제

美 전문가들 "펠로시-윤 대통령 회동 불발, 중국 때문이면 실수"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한국 방문과 관련해 미국의 전문가들은 대북 억지 약속과 함께 한미관계가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했다고 미국의소리(VOA)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펠로시 의장을 만나지 않은 것이 중국 때문이라면 실수라는 지적도 나왔다. 미첼 리스 전 국무부 정책기획실장은 VOA와 전화통화에서 낸시 펠로시 미 하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79
22.08.05
자유주제

"IMF 사태 또 올 수도"..남아시아 통화가치 폭락에 줄도산 위기

남아시아 신흥국들이 통화 가치 폭락과 외채 부담 증가로 줄도산 위기에 내몰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 인상을 가속화한 데 따른 여파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파키스탄·방글라데시·스리랑카 남아시아 경제 ’휘청’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남아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5
22.08.05
자유주제

2022 페라리 데이토나 FP3

정말 경이로운 디자인이네요

thumbnail
정형돈|22.08.05
like-count1
commnet-count3
view-count1,405
22.08.05
자유주제

우크라 "러, 포로시설 학살 정황..포격 전 미리 무덤 파"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책임 공방을 벌이는 동부 올레니우카 포로수용소 포격 사건과 관련해 러시아군이 자작극을 벌인 정황이 포착됐다고 우크라이나가 주장했다. 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고위 우크라이나 관료들은 전날 키이우에서 백브리핑을 열고 지난달 29일 올레니우카 수용소에서 수십명이 숨진 포격 사건은 러시아가 저지른 전쟁범죄라는 증거를 확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1
22.08.05
자유주제

'내정 간섭' 北 비난에..대만 "부적절 발언, 주권 폄훼" 반박

북한이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은 내정 간섭 행위라고 비난하자, 대만은 "주권 폄훼"라며 반발했다. 5일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조앤 우 타이완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매체에 성명을 보내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타이완 방문이 중국 내정에 대한 간섭이며 타이완은 중국의 일부라는 북한 외무성의 부적절한 발언에 대해 엄중히 반박한다"고 밝혔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42
22.08.05
자유주제

조선산업 위기대응 지원정책 종료 임박.."대체·보완책 필요"

조선산업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2016년부터 시행된 정부 지원정책이 올해말 또는 내년 상반기에 종료되는 가운데, 이러한 지원정책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대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경남연구원은 연구원 정책소식지(G-BRIEF)에 김진근 선임연구위원과 김도형 전문연구원이 '조선산업 위기대응 지원정책의 만족도와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연구 글을 게시했다고 5

울트라맨8|22.08.0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5
22.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