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클레이튼, 2000만달러 규모 블록체인 연구 센터 본격 가동

울트라맨8

Lv 116

22.08.11

view_cnt

646

블록체인 클레이튼이 2000만달러 규모로 설립한 블록체인 리서치 센터(BRC)가 본격 운영된다. 블록체인 클레이튼이 블록체인 리서치 센터(BRC)의 첫 번째 연구팀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싱가포르국립대(NUS) 등으로 구성된 연구진을 선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은 블록체인 분야에서 선구자적 역할을 해 온 연구진들로 구성됐으며, 이번 BRC 프로그램에 참여해 글로벌 연구 컨소시엄으로서 연구를 함께 이끌어 나간다. 팀의 리더는 풍부한 블록체인 연구 경험을 보유한 KAIST 전산학부의 강민석, 싱가포르국립대 컴퓨터과학과의 프라틱 삭세나 조교수가 맡는다. 이번 연구 컨소시엄에는 연세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프린스턴 대학교, 조지아 공과대학, 노던 애리조나 대학, 카네기멜론대학의 저명한 블록체인 분야 연구원들이 참여한다. 이 컨소시엄은 BRC에서 연구수행과 블록체인 커뮤니티 활동을 같이 한다. 이번 프로젝트 수행 연구 결과는 논문이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형태로 공개될 예정이며, 외부 연구자들도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참여하거나 연구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다. 싱가포르국립대의 프라틱 삭세나 교수는 "BRC는 블록체인 설계와 응용 분야의 최첨단 연구 발전을 위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클레이튼과 함께 영향력 있는 연구를 위한 하나의 플랫폼을 만들고, 새로운 글로벌 담론을 발전시키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KAIST 강민석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지식 교류가 핵심"이라며 "BRC를 통해 전 세계 블록체인 연구진 및 관계자들과의 산업 협력이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BRC는 블록체인 산업의 성장과 생태계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연구 기관으로,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위한 첨단 연구 발전을 목표로 한다. 클레이튼은 4월 BRC 프로그램을 위해 2000만달러의 기금을 모았다. 클레이튼은 이 기금을 바탕으로 향후 4년간 클레이튼과 블록체인의 발전을 위한 연구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하며, 프로젝트 연구 결과나 정보를 컨퍼런스 및 워크숍을 통해 수시로 공유해 블록체인 커뮤니티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서상민 클레이튼 재단 이사장은 "웹 2.0과 웹 3.0의 가교 역할을 하겠다는 클레이튼의 비전에 따라, 디파이(DeFi)나 메타버스가 실제 세상에 안착할 수 있도록 연구 커뮤니티와 블록체인 선도 업계 간의 연결고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기회를 통해 블록체인 발전에 대한 담론이 대중화되길 바라고, BRC 프로그램을 통해 클레이튼의 비전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어 기쁘다"고 밝혔다.
클레이튼, 2000만달러 규모 블록체인 연구 센터 본격 가동

클레이튼, 2000만달러 규모 블록체인 연구 센터 본격 가동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볼턴 이어 두번째 암살 표적은 폼페이오 전 국무장관

미국 법무부가 마이크 폼페이오 전 미 국무장관에게 존 볼턴 전 국가안보보좌관을 암살하려 한 이란 공작원의 두번째 암살 표적이었다고 통보한 것으로 10일(현지시간) 미국의 인터넷 매체 액시오스(AXIOS)가 보도했다. 폼페이오의 한 측근은 법무부가 "직접 폼페이오 장관에게 기소한 사람들의 표적 중 한 사람이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법무부는 이날 이란

울트라맨8|22.08.1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7
22.08.11
자유주제

바이든 노스캐롤라이나에서 10일부터 여름휴가

조 바이든 미국대통령이 여름 휴가가 시작되는 10일(현지시간) 노스 캐롤라이나주에 있는 키아와 섬에 도착해 가족들과 함께 최소 7일간의 일정을 시작했다. 바이든 부부는 조용한 민간 해수욕장과 골프 리조트로 유명한 휴양지 키아와 섬에서 16일까지 지낼 것이라고 연방항공청 관계자들이 말했다. 백악관은 바이든 대통령의 정확한 휴가 스케줄이나 활동, 언제 워

울트라맨8|22.08.1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2
22.08.11
자유주제

"지구온도 2도 오르면 수세기내 해수면 최대 5m 상승"-英연구

지구온도가 2도 오르면 남극 대륙의 세계 최대 빙하가 녹아 수세기내 해수면이 최대 5m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영국 연구가 나왔다. 최근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인도·태평양 섬나라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고 있어 우려되는 문제다. 10일(현지시간) AFP 통신에 따르면 영국 더럼대 연구진은 전 세계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이 높게 유지되면 기

울트라맨8|22.08.1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9
22.08.11
자유주제

'러 점령' 우크라 자포리자, 9월11일 러 병합 주민투표

우크라이나 남부 자포리자주에서 오는 9월11일(현지시간) 러시아 병합을 위한 주민투표를 실시할 방침이라고 타스 통신이 보도했다. 러시아 측이 임명한 예브게니 발리츠키 자포리자주 임시 정부 수장은 11일(현지시간) 러시아 일간 이즈베스티야 인터뷰에서 "9월11일 러시아 편입을 위한 주민투표를 실시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8일 러시아 편입 주민

울트라맨8|22.08.1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0
22.08.11
자유주제

"미국, 중국 대만 무력시위로 관세 철폐 검토 보류"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중국이 대만을 사방에서 포위하는 전방위적 ‘무력 시위’에 나서면서 미국이 대중국 관세 인하 혹은 철폐 논의를 보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10일(현지시간) CNBC 등은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대만을 둘러싼 중국의 '전쟁 게임'으로 바이든 행정부 관리들은 대중국 관세 철폐 혹은 인하 논의를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울트라맨8|22.08.1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7
22.08.11
자유주제

日 홋카이도서 규모 5 넘는 지진 발생.."일주일간 지속 가능성"

일본 홋카이도 소야 지방 북부에서 규모 5가 넘는 지진이 두 차례 발생했다. 기상청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지진으로 인한 피해 상황을 전달했다. 11일 NHK방송은 일본 기상청을 인용해 이날 오전 12시 35분과 12시 53분에 홋카이도 소야 지방 북부에서 규모 5.2와 5.4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두 차례의 지진 이후 이날 오전 2시 40분까지

울트라맨8|22.08.1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7
22.08.11
자유주제

美 물가 상승세 둔화에 구리 가격 5주 만에 최고치

구리 가격이 5주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미국의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서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가 완화됐기 때문이다. 10일(현지시간)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3개월물 구리 가격은 전날 보다 1.28% 오른 톤당 8085.5달러에 마감했다. 장중 8089달러를 찍으며 지난 7월 1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

울트라맨8|22.08.1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8
22.08.11
자유주제

가장 육식을 즐기는 곳에서 일어난 일

홍콩은 세계에서 가장 육식을 즐기는 곳이다. 2017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집계를 보면, 홍콩의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137㎏으로 미국(124㎏)을 제치고 1위였다. 대표적 축산업 국가인 오스트레일리아, 아르헨티나, 뉴질랜드가 뒤를 이었다. 한국의 1인당 육류 소비량(71㎏)은 홍콩의 절반 수준이었다. 어류 등 해산물 소비량도 아이슬란드와 몰디

울트라맨8|22.08.1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4
22.08.11
자유주제

EU, 10일부터 러 석탄 수입 금지 발효..러 연간 매출 80억 유로 영향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이 지난 4월 합의에 따라 10일(현지시간)부터 러시아산 석탄 수입 금지를 시작했다고 도이체벨레(DW), dpa 통신 등이 보도했다. EU는 지난 4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제재하기 위해 러시아산 석탄 수입을 금지하는 제재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EU 국가들은 러시아산 석탄을 대체할 공급처를 찾았다. EU는 미국, 콜

울트라맨8|22.08.1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76
22.08.11
자유주제

유엔 "우크라 곡물 월 500만t 수출 목표 달성 가능할 듯"

유엔은 흑해를 통한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이 본격화되면서 매달 500만t까지 곡물을 수출한다는 목표를 충분히 달성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을 위해 구성된 공동조정센터(JCC)의 프레더릭 케니 유엔 임시 조정관은 10일(현지시간) 흑해를 통해 우크라이나 곡물을 수출하려는 선박이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로이터 통

울트라맨8|22.08.1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1
22.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