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홍콩 최대 규모 국가보안법 재판, 배심원 없이 열린다

울트라맨8

Lv 116

22.08.19

view_cnt

655

47명이 기소된 홍콩 최대 규모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 보안법) 위반 사건의 재판이 배심원 없이 진행된다. 영국식 사법 문화가 바탕인 홍콩에서 배심원 없이 재판이 진행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19일 <홍콩프리프레스> 등 보도를 보면, 오는 9월부터 홍콩 법원에서 열리는 홍콩보안법 위반 사건의 재판이 배심원 없이 진행된다. 재판을 받는 이들은 47명으로, 학생 운동가 조슈아 웡, 베니 타이 전 홍콩대 교수, 지미 샴 민간인권전선 대표, 전 입법회 의원(국회의원 격)인 앨빈 융과 클라우디아 모 등이다. 이들은 지난 2020년 홍콩 입법회 선거를 앞두고 실시된 입법위원 예비선거 경선에서 국가전복을 음모한 혐의로 기소됐다. 국가 전복은 중국이 제정해 2020년 6월 시행된 홍콩보안법의 4대 범죄 중 하나다. 홍콩 법무부는 배심원과 그의 친인척 보호를 위해 배심원 없이 재판을 진행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홍콩보안법 제46조는 민감한 사건에 대해 배심원을 배제한 채 재판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법무부에 부여하고 있다. 이번 재판은 홍콩에서 배심원 없이 진행되는 두 번째 국가 안보 관련 재판이다. 첫 사례는 지난해 7월1일 ‘광복홍콩 시대혁명’이라고 적힌 깃발을 오토바이에 달고 시위 진압 경찰관 3명에게 돌진했다는 혐의로 9년형을 선고받은 퉁잉킷(25) 재판이었다. 이 재판은 홍콩에서 처음으로 홍콩보안법이 적용된 재판이기도 했다. 배심원 없는 재판을 두고 헌법에 보장된 기본권을 제한하며 홍콩 정부 입맛에 맞춘 판결을 내리기 위한 사전 작업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홍콩은 170여년 동안 영국식 관습법에 따라 배심원이 참석해 투명하고 공정한 판결을 내릴 수 있도록 했다. 홍콩 사법부는 누리집에 배심원 제도를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명시하고 있다.
홍콩 최대 규모 국가보안법 재판, 배심원 없이 열린다

홍콩 최대 규모 국가보안법 재판, 배심원 없이 열린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중국 지리車, 내년 전기차 판매 비중 50%로 확대

중국 최대 민영 자동차사 지리(吉利汽車)는 2023년 전체 판매량에서 전기자동차(EV)가 차지하는 비중을 50%로 확대한다고 동망(東網)과 신랑재경(新浪財經) 등이 19일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간자웨(淦家閱) 지리자동차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상반기 재무제표 발표 후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올해 하반기 월간 판매에서 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V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16
22.08.19
자유주제

이러다 중국 공장 다 멈춘다..비상 걸린 전 세계 기업들

중국에 닥친 기록적 폭염이 글로벌 공급망에 연쇄 타격을 입히고 있다. 폭염으로 전력난이 심각해지자 당국이 산업시설을 일시 폐쇄시키는 '계획 정전' 조치를 취하면서다. 18일 중국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쓰촨·충칭·저장성 등에 위치한 제조업체은 최근 일주일씩 조업을 중단하고 있다. 사실상 강제 휴업이다. 전력난에 시달리는 해당 지방정부들이 전력 사용 제한을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1
22.08.19
자유주제

우크라 곡물 수출 재개 보름..어디로 얼마나 갔나 보니

우크라이나가 흑해를 통해 곡물 수출을 재개한 지 보름이 지났으나 수출량이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전의 5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흑해 곡물 수출 재개로 고조됐던 글로벌 식량 위기가 진정되고 고공행진하던 곡물가도 안정될 것이란 기대가 일었으나 아직은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니혼게이자이 신문은 곡물 수출을 위한 총괄 관리기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2
22.08.19
자유주제

"우크라군 크림반도 공격, 미국이 승인해줬다"-폴리티코

러시아가 불법 점령 중인 우크라이나 남부 크림반도 내 군사시설이 최근 주체가 불분명한 공격을 잇달아 받은 가운데,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크림반도 공격을 승인해줬다는 미국 언론 보도가 나와 주목된다. 미국은 크림반도를 우크라이나 주권이 미치는 영토로 간주, 자위적 방어 차원에서 공격을 승인해줬다는 것이다. 다만 우크라이나는 아직 러시아군에 손실을 안긴 크림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7
22.08.19
자유주제

한국→유럽→뉴질랜드..'러시안룰렛'처럼 떨어지는 물 폭탄

한국에 이어 폭염으로 몸살을 겪은 영국과 프랑스, 그리고 남반구의 뉴질랜드에서 잇따라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다. 장전된 총알이 어느 구멍에 있는지 모르는 채 방아쇠를 당기는 ‘러시안 룰렛’처럼 비구름은 지구촌 곳곳에 예상치 못한 물폭탄을 떨구고 있다. 18일(현지시간) AFP통신과 BBC방송 등에 따르면 전날 밤 프랑스 파리에 큰 비가 내려 지하철 역사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2
22.08.19
자유주제

독일, 가스 요금 부담 '부가가치세 인하' 카드로 방어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올 겨울 가스 요금 인상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독일 정부가 가스 판매에 매기는 부가가치세율을 기존 19%에서 7%로 낮추는 계획을 발표했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FT)는 18일(현지시각)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가스 판매에 붙는 부가가치세 인하 계획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숄츠 총리는 기자들을 만나 “이러한 (에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69
22.08.19
자유주제

'발리 테러' 주범 가석방에 '발끈'한 호주 "희생자 가족에 큰 고통"

202명 목숨을 앗아간 인도네시아 발리 테러 20주기를 앞두고 주범 우마르 파텍의 가석방이 예고된 가운데 18일(현지시간) 호주 정부가 인도네시아 정부에 공식 우려를 표했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이날 파텍의 가석방 수순에 대해 "발리 폭탄 테러 희생자 가족이었던 호주인들에게 더 큰 고통을 줄 것"이라며 "그의 행동은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9
22.08.19
자유주제

캠퍼스에 모처럼 학사모..창원대 3년만에 오프라인 학위수여식

"우리 과 자랑 000. 졸업 진심으로 축하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몇 년간 열리지 않았던 오프라인 '학사' 학위 수여식이 19일 창원대학교에서 개최됐다. 코로나19 확산 후 3년 만에 처음으로 열린 학·석·박사 오프라인 졸업식이다. 그동안 학사 졸업자들은 학사모와 졸업 가운을 빌려 인증샷만 짧게 남기거나 졸업장만 받고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93
22.08.19
자유주제

5·18 조사위, 신군부 핵심인사·군 지휘관 조사 착수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40년 넘게 풀리지 않은 '5·18 발포 경위'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조사에 박차를 가한다. 특히 신군부 핵심이었던 정호용 당시 특전사령관과 대대장급 군인·보안사령부 핵심 참모 등 진압작전과 관련된 군 지휘관급 인사들에 대한 조사에도 본격적으로 나선다. 19일 5·18진상조사위가 국회에 보고한 2022년 상반기 조사 활동 보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2
22.08.19
자유주제

미분양관리지역 지정 후 대구 신규 분양 주춤..미분양 해소 도움될까

대구의 미분양 아파트 해소를 위한 정부의 미분양관리지역 정책에 따라 신규 분양사업이 줄줄이 지연되고 있다. 미분양관리지역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매월 미분양 아파트 수 500가구 이상인 시·군·구 가운데 미분양물량이 가파르게 증가하거나 미분양 해소 속도가 저조한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한다. 19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고환율·고물가·고금리 등에 따른

울트라맨8|22.08.19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0
22.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