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기후변화에 뜨거워진 바다..알래스카 킹크랩·대게가 사라졌다

울트라맨8

Lv 116

22.08.22

view_cnt

864

‘그 많던 알래스카 왕게(킹크랩)와 대게는 다 어디로 갔을까.’ 전 세계 게 주요 산지 중 하나로 꼽히는 미국 알래스카 바다에서 서식 중인 대게 개체 수가 지난해 10분의 1로 급감하는 등 왕게와 대게들이 갑자기 자취를 감췄다. 러시아 해역이나 심해로의 이동설을 비롯해 천적 등장설, 외계인 납치설까지 다양한 이론이 등장했지만 수수께끼가 아직 풀리지 않은 가운데 과학자들은 한목소리로 알래스카 왕게·대게의 실종이 기후변화와 관련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21일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2008년 2720만 파운드(약 1만2338t)에 달했던 알래스카 해역에서의 왕게 어획량이 지난해 600만 파운드로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왕게보다 약간 작지만 알래스카 게 어획량의 가장 큰 부분(연 2억 달러 규모)을 차지하는 대게의 경우 동부 베링해 해역에서의 서식 규모 추정치가 2009년 20만2300t에서 2020년 2만6700t으로 급감해 10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알래스카산 왕게·대게 어획량은 지난 10여 년간 천천히 감소해왔다. 하지만 2018∼2019년 과학자들은 바다 밑바닥에 기록적인 숫자의 어린 대게들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어민들은 이후 어획량이 급증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지난해 대게 시즌이 당도하자 게들은 사라진 상태였다. 알래스카 바다에 서식하는 3대 게 중 왕게·대게가 사라진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게들이 더 차가운 바닷물을 찾아 북서쪽 러시아 해역으로 이동했거나 대륙붕에서 심해로 이동했다는 주장이 제기됐고, 새로운 포식자가 등장했거나 게들이 서로를 잡아먹었다는 가설까지 등장했다.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 알래스카 수산과학센터의 과학·연구 책임자인 밥 포이는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명확히 말할 수 있는 데이터가 없다”며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2019년 극심한 폭염이 있었고 전에 살지 않던 지역으로 수많은 어류와 게가 이동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해양생물학자들과 어민들 모두 게들의 실종이 기후변화와 관련 있다는 점에는 모두 동의하고, 이번 사태는 기후변화가 기존 어업에 궤멸적 타격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경고라고 우려했다. 알래스카 왕게·대게의 실종은 미 식당업계와 지역사회에도 충격을 주고 있다. 식당업계는 알래스카 게들의 부족분을 채우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지난 3월 미 정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 대러시아 제재를 확대하면서 보드카·다이아몬드 등과 함께 러시아산 생선을 비롯한 해산물 수입을 금지한 상태다. 알래스카 서부 해안지역의 경우 게 어획량 감소로 관련 가공시설 등의 가동률이 떨어진 데다 지역공동체 운영비의 85%를 감당하던 어획세가 급감해 고민에 빠졌다. 현재까지는 기존에 모아 둔 예비금으로 충당하지만 게 어획량 급감이 장기화할 경우 지역사회 혼란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기후변화에 뜨거워진 바다..알래스카 킹크랩·대게가 사라졌다

기후변화에 뜨거워진 바다..알래스카 킹크랩·대게가 사라졌다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1,330원마저 돌파한 환율..물가정점 지연·경기둔화 압력 가중

22일 원/달러 환율이 13년여만에 1,330원마저 넘어서면서 물가 상승세의 정점이 지연되고 경기 둔화 압력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물가 상승세는 소비를 둔화시키고 기준금리 인상 압력을 키우게 된다. 금리가 올라가면 기업의 투자와 소비가 위축돼 경기가 둔화할 수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달러당 1,335.5원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01
22.08.22
자유주제

오미크론용 백신 넘어 하위변이 맞춤형 백신도 곧 나온다

영국이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를 겨냥한 개량 백신 사용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승인하면서 향후 각국에서 유사한 움직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2일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에 따르면 영국은 지난 15일 오미크론 변이에도 대응하도록 개발된 미국 제약사 모더나 2가 코로나19 백신의 사용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승인했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47
22.08.22
자유주제

중국, 사실상 기준금리 전격 인하..부동산 시장 부양 의지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년 만기 LPR를 전월보다 0.05%포인트 낮은 3.65%로 22일 고시했다. 5년 만기 LPR는 4.3%로 전월보다 0.15%p 낮췄다. LPR은 중국 내 18개 시중은행이 보고한 최우량 고객 대출 금리의 평균치로, 1년물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에 은행 조달비용, 위험 프리미엄 등을 가산해 산출한다. 1년 만기 LPR은 우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63
22.08.22
자유주제

전기차 배터리, 中 의존도 더 높아졌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IRA) 시행으로 내년부터 북미향 자동차·배터리 제조에 쓰이는 광물과 부품 수급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올해 대(對)중국 의존도는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IRA가 내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만큼 원재료와 공급망 다각화를 위한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2일 한국무역협회에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03
22.08.22
자유주제

"커피값 또 오르면 안 되는데"..브라질 상황에 '비상'

커피값이 더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최대 커피 수출국인 브라질의 올해 수확량이 크게 줄면서다. 2년 주기로 짝수년에 수확량이 많은 브라질 커피 특성상 올해 수확량이 적을 경우 커피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브라질 커피 생산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은 이미 시장 가격에 반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484
22.08.22
자유주제

유미선 세종충남대병원 약제부장.. 중앙약사심의위원 위촉

유미선 세종충남대학교병원 약제부장이 의약품 식견 및 전문성을 인정받아 식품의약품안전처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22일 병원에 따르면 중앙약사심의위원회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 보건복지부 장관의 자문 안건에 대해 의약품 등 정책과 기준규격, 의약품의 안전성과 유효성 등과 관련한 사항을 조사, 심의하는 기구이다. 임기는 오는 2024년 8월 7일까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0
22.08.22
자유주제

작년 "인플레 일시적" 망신 당한 파월, 올 잭슨홀에선?

이번주 25일(현지시간) 사흘 간의 일정으로 와이오밍주의 휴양지 잭슨홀에서 미국 최대 중앙은행 컨퍼런스인 잭슨홀 미팅이 열린다. 최근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2년 간엔 별다른 이슈가 없었지만, 올해는 가파르게 치솟는 인플레이션과 그에 맞선 중앙은행들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지는 상황이라 주식시장을 잔뜩 긴장시키고 있다. 전문가들도 제롬 파월 의장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85
22.08.22
자유주제

사드 후유증..中 진출기업 5년새 반토막

국내 기업들이 중국에 설립한 신규 법인 수가 최근 5년 새 반 토막 난 것으로 확인됐다. 사드(THAADㆍ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결정 후 중국 내 ‘한한령’과 미·중 패권경쟁 여파로 중국을 둘러싼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서 국내 기업들의 ‘탈중국’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더 이상 안전한 생산거점이 아니라며 구조적 해법을 모색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9
22.08.22
자유주제

지구대·파출소 경찰 48%만 38권총 소지..'尹자택' 서초 최하

윤석열 대통령이 경찰 ‘1인 1총기 소지’ 검토 지시를 내린 가운데 경찰 절반 정도만 총기를 소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경찰청이 정우택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서울 지구대·파출소 총기 소지 현황’에 따르면 전체 31개 지구·파출소 인원 1만556명 대비 총기 수는 5114개로, 전체의 48.4%가 총기를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윤 대통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39
22.08.22
자유주제

"서울시, 발달장애인 지원 여전히 가족에 전가..국가의 폭력"

최근 발달장애인에 대한 학대 사건이 잇달아 불거지고, 폭우로 목숨을 잃는 발달장애인까지 발생했다. 이에 장애인단체는 서울시에 “발달장애인들이 지역 사회에 자립할 환경을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22일 서울장애인부모연대(이하 부모연대)는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발달장애인들이 가족에 의해 살해되거나 학대당하고, 또한 그 가족들이 스스

울트라맨8|22.08.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22
22.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