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주요5개국, 17년만에 '동시' 장·단기 금리역전..침체 공포 심화

울트라맨8

Lv 116

22.08.26

view_cnt

878

주요10개국(G10) 중 절반인 5개 국가에서 최근 장·단기 금리가 역전,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심화하고 있다. 26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에 따르면 미국, 영국, 캐나다, 스웨덴, 뉴질랜드 등 5개 국가에서 지난 7월 이후 국채 2년물 수익률이 장기금리 지표인 10년물 수익률을 웃도는 현상이 일시적 또는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미국과 스웨덴, 캐나다에서는 7월 초 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했고, 이달 5일과 15일 뉴질랜드와 영국에서도 각각 2년물과 10년물 수익률이 뒤집혔다. 통상 장·단기 금리역전은 경기침체 전조 현상으로 받아들여진다. 전미경제연구소(NBER)에 따르면 1980년 이후 미국에서 경기 후퇴가 발생한 경우 약 1년 반 전에 장·단기 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했다. 5개국에서 동시에 장·단기 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한 것은 2005년 이후 17년 만에 처음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5월이나 미중 갈등이 극에 달했던 2019년 8월에도 동시에 금리역전이 발생한 국가는 4개국에 그쳤다. 그만큼 현재 세계 경제가 후퇴할 가능성이 높다는 징후라고 닛케이는 진단했다. 캐나다의 금리 격차가 0.4%포인트로 가장 컸다. 이에 지난달 13일 캐나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무려 1%포인트 인상(울트라스텝)했다. 평소의 4배에 달하는 인상폭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많이 받는 2년물 수익률이 급등했다. 미국의 금리 격차는 0.3%포인트로 캐나다 다음으로 컸다. 이는 0.5%포인트에 달했던 2000년대 초반 닷컴 버블 사태 이후 최대폭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에너지 공급 불안이 심화한 유럽도 마찬가지다. 스웨덴 중앙은행은 현재 0.75%인 기준금리를 2%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뜻을 내비쳐 장·단기 금리역전 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다. 영국은 에너지 수입 가격 급등으로 물가상승률이 10%를 넘어섰고, 내년 1월엔 20%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달초 영란은행(BOE)은 1995년 2월 이후 약 27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했다. 이에 국채 2년물 수익률이 치솟으며 3%에 근접했다. BOE는 지난해 12월 전 세계 주요 중앙은행 가운데 가장 먼저 금리인상을 단행했으며, 이후 0.25%포인트씩 5차례, 이번까지 총 6차례 기준금리를 올렸다. 두자릿수 인플레이션을 억누르려면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어서 2년물 수익률이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 뉴질랜드는 지난 5일 국채 10년물 금리가 3.3%대로 떨어지면서 금리역전 현상이 발생했으나, 중앙은행의 금리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느려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19일에 해소됐다. 이번 동시다발적 장·단기 금리역전 현상은 과거와 마찬가지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각국 중앙은행의 긴축 때문이지만, 물가 상승 유발 원인이 다르다는 분석이다. 닛케이는 “과거의 인플레이션이 견조한 경기 및 왕성한 수요에 따른 것이었다면, 이번엔 경기 과열이 아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공급 제한이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주요5개국, 17년만에 '동시' 장·단기 금리역전..침체 공포 심화

주요5개국, 17년만에 '동시' 장·단기 금리역전..침체 공포 심화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가입했어요

반갑습니다

절륜남|22.08.26
like-count2
commnet-count2
view-count666
22.08.26
자유주제

가입인사.

솔직히 리워드가 몇일후 마감된다해서 부랴부랴 작성하네요. 겟차 번창하세요.화이팅.^^

가로등불빛|22.08.26
like-count4
commnet-count3
view-count694
22.08.26
자유주제

안녕하세요~

오늘 가입했네요~ 앞으로 좋은 정보 부탁드려요~ㅎㅎ

탈퇴자|22.08.26
like-count3
commnet-count4
view-count853
22.08.26
자유주제

결산심사 제대로 하려면.."시기 앞당기고, 제도 개선해야"

올해 결산심사도 결국 법정시한(정기국회 개회 전)을 넘김에 따라 형식적인 심사에 그칠 공산이 커졌다. 실효성 있는 결산심사를 위해서는 결산심사 시기를 앞당겨 충분한 심사가 이뤄지고 예산에 반영할 수 있는 형태로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김진표 국회의장은 국회 사무처 업무보고에서 "8월 마지막 주에 하는 결산을 6월로 앞당겨 보자"고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48
22.08.26
자유주제

가입인사

반갑습니다.

도미노치킨|22.08.26
like-count2
commnet-count4
view-count1,263
22.08.26
자유주제

尹, 취임 후 첫 대구행..지지율 비상에 '집토끼' 잡기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취임 후 처음으로 '보수의 텃밭'인 대구를 방문했다. 당선인 시절인 지난 4월12일 서문시장을 찾은 이후 110여일 만이다. 윤 대통령의 대구 방문은 국정운영 지지도가 20% 대까지 추락해 비상이 걸리자 보수 핵심 지지층을 잡기 위한 행보로 받아들여진다. 지지율 비상에 집토끼 잡기에 나선 것이다. 최근 윤 대통령을 향한 대구·경북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8
22.08.26
자유주제

금리 인상에 '이자 부담'↑..부동산 시장 더 얼어붙나?

[앵커] 전국의 아파트값이 10년만의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 또 어제 다시 금리가 오르면서 대출자가 추가 부담해야 하는 이자 규모가 연간 27조 원이 넘는다고 합니다. 전문가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김인만] 안녕하세요. [앵커] 안녕하십니까. 어서 오십시오. 이 금리 인상이 집값에 그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18
22.08.26
자유주제

민주당 낙하산 점령한 KISTEP..성범죄 이중잣대 논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서 지난 5년간 성범죄 등으로 해임 등 중징계 처분이 다수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KISTEP은 수 천억원~수 조원대 연구개발 사업의 타당성 조사 업무를 하면서 이들 사업의 시작 여부를 사실상 결정하는 기관이다. 26일 한국경제신문의 취재를 종합하면 KISTEP에서 2017~2021년 발생한 징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21
22.08.26
자유주제

"물가 3%대로 떨어져야 금리인상 멈출 것"..환율안정 최대 과제

고물가와 경기둔화 갈림길에 선 한국경제에 통화정책 묘수가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말까지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지만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통화정책의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경제 전문가 5인의 긴급 대담을 통해 경기 진단과 함께 한은의 통화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4
22.08.26
자유주제

정기석 "독감환자 많아져..응급실 발열환자 코로나 감별대책 필요"

정부 방역정책의 자문역인 정기석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은 "정부가 추석연휴 코로나19 방역·의료대응 대책을 수립 중"이라며 응급실에 온 발열 환자가 코로나19인지, 다른 열성질환자인지 감별할 대책 마련을 26일 권고했다. 정 단장은 "연휴가 되면 병이 중하든, 중하지 않든 응급실로 가게 돼 있다. 특히 올해는 인플루엔자(독감)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8
22.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