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문제 생길 때마다 '고강도 규제'.. '금융계 BTS'육성 발목"

울트라맨8

Lv 116

22.08.26

view_cnt

857

‘문화금융리포트(MFiR) 2022’ 토론자들은 한목소리로 “금융의 디지털전환 과정에서 이뤄지는 혁신 경쟁에서 우리나라가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변화의 속도에 맞춰 금융 규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세션 ‘패널 발표 및 종합토론’에서 좌장을 맡아 토론을 이끈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가상자산특별위원장은 은행권이 신사업에 진출할 수 있는 문턱을 낮추기 위해 고유 업무 외의 부수 업무 허용 범주를 확 늘리는 방안 추진을 시사했다. 윤 의원은 “은행이 담당할 수 있는 부수 업무가 15개로 규정돼 있는 포지티브 규제는 여러 곳에서 지적되고 있다”며 “당장 규제의 성격을 네거티브 방식으로 바꾸기는 어렵지만, 포지티브 규제에 해당하는 분야를 30~40개로 만들면 네거티브 방식과 거의 비슷한 효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포지티브 규제는 당국이 허용한 사업 외에는 금지하는 방식이다. 선진국은 대부분 법령에서 지목한 규제 사항 외에 모든 분야의 사업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네거티브 규제를 채택한다. 황보현우 하나금융지주 데이터본부장은 “금융권이 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단지 몇 개만 늘린다고 해서 기존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는 없다”면서 “과감하게 은행업에 규정된 부수 업무를 네거티브 규제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취임 일성으로 밝힌 ‘금융 BTS’ 육성과 관련해서도 열띤 토론이 진행됐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기존 금융기관과 손잡고 할 수 있는 일이 많은데도 금융권은 국내에 발목이 잡혀 있는 것 같다”며 금융권에 불고 있는 빅블러(Big Blur) 현상에 대해 “반대로 ‘빅 어웨이크닝’(Big Awakening·거대한 자각)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정보기술(IT) 혁신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한 기존 사업자들이 신생기업의 등장으로 사업을 잠식당하자 비로소 IT 역량의 중요성을 깨치고 있다는 점을 꼬집은 것이다. 이 대표는 “기존 기업들이 잘하는 분야가 있는데, 이런 기업들이 혁신 IT기업과 피를 섞고, 손을 잡아야 한다”며 “현실은 은산·금산분리 등 여러 제약이 있지만 이제 그 틀을 깨고 우리가 해외시장에서 보고 취할 수 있는 것을 전부 다 시도해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또한 “이런 상황에서 국내기업들에 대해 규제를 만들어도 해외기업에 대한 조치는 취할 수 없기 때문에 국내기업이 역차별을 받는 상황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은 “한번 문제가 발생하면 ‘재발방지책’이라는 이름으로 강도 높은 규제가 만들어진다”며 “재발방지책을 과도하게 만들기보다는 다른 방향으로 같이 협업하면 좋을 것 같다”고 밝혔다. 이근주 한국핀테크산업협회장은 “지금 같은 규제 하에서는 사회적 효용을 극대화하기 쉽지 않고 금융 BTS 구현도 어렵다”며 “비대면·온라인 환경에 맞춰 전자금융거래법(전금법)과 금융소비자보호법(금소법)에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제 생길 때마다 '고강도 규제'.. '금융계 BTS'육성 발목'

'문제 생길 때마다 '고강도 규제'.. '금융계 BTS'육성 발목'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안녕하세요

가입했어요 반갑습니다

바나나우유좋아|22.08.26
like-count2
commnet-count2
view-count687
22.08.26
자유주제

현대차그룹, 자율주행차 브레이크 고장 대응 시스템 공개

운전자가 없는 자율주행 차량에서 브레이크 장치가 고장 나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현대차그룹은 특허 출원한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고장 대응 시스템'을 26일 'HMG 테크 사이트'에 공개했다. 현대차그룹은 "해당 기술은 완전 자율주행 모빌리티를 전제로 하며 브레이크 장치에 오류가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다른 차량 간의 상호작용으로 피해를 최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41
22.08.26
자유주제

바빠진 인터넷은행..대출금리 인하 랠리

예대금리차 공시제도가 도입된 이후 인터넷전문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낮추고 수신상품 금리를 올리는 등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이자 장사’ 비판을 피하는 한편 시중은행들과의 고객 유치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는 전월세보증금대출 금리를 0.31~0.41%포인트(P) 가량 낮추기로 결정했다. 이날 일반전월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4
22.08.26
자유주제

반품 기회 놓친 고객에게 꽃과 카드 보낸 '주인'같은 직원

“우리 직원은 주인의식이 없어 큰 일이야.” 주위에서 흔히 듣는 말이다. 그러나 생각해 보자. 우리 회사는 직원에게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는가? 임파워먼트(empowerment)는 직원에게 자발적으로 일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 주고 키워 주는 것이다. 즉 직원의 기를 살려 주는 것이다. 직원이 상황을 즉각적으로 판단하고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37
22.08.26
자유주제

"2200억원 더 써야 하는데"..씨티 결국 러 '철수' 결정, 왜?

미국 대형은행 씨티그룹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개전 6개월 만에 러시아 사업 철수를 최종 결정했다. 서방의 제재로 러시아 사업 운영이 사실상 어려워진 가운데 그간 추진했던 매각 협상도 수포로 돌아가면서다. 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CNBC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씨티그룹은 이날 성명을 통해 "서방의 제재로 러시아의 사업을 계속 운영하는 것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1
22.08.26
자유주제

엔데믹 터널을 지나..크루즈 '부활의 카운트다운'

글로벌 크루즈가 제주를 드나들며 선석난을 토로했던게 엊그제인 것만 같지만 코로나19를 맞으며 바닥을 쳤습니다. 매년 선석 신청은 들어왔지만 취소가 반복됐고, 2년 넘게 크루즈 관광객은 '0명'입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크루즈 산업 회복 움직임은 나타나고 있고, 제 궤도에 올리는데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손놓고 있을 상황이 아니라는 겁니다. 이런 상황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8
22.08.26
자유주제

안녕하세요 :)

오늘 샤로운 분이 많으시겠네요!

호요요|22.08.26
like-count2
commnet-count2
view-count683
22.08.26
자유주제

"위중증환자 우선 치료 위해"..코로나 병상 재원적정성 평가 매일 시행

정부가 코로나19 위중증 환자가 계속 증가하자 병상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중증 병상에 대한 재원 적정성 평가를 강화한다. 입원환자의 퇴실명령 이행기간도 2일에서 1일로 단축하기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6일 중앙사고수습본부로부터 '코로나19 중증병상 재원적정성 평가 강화방안'을 보고받고 이같이 논의했다고 밝혔다. 국내 중증병상 가동률은 지난달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8
22.08.26
자유주제

수원지검, 쌍방울 본사·계열사 압수수색 중

‘쌍방울 그룹 횡령·배임 의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변호사비 대납 의혹’을 수사 중인 수원지검이 26일 쌍방울 그룹 본사와 계열사 등 10여곳을 압수수색하고 있다. 수원지검 통합수사팀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구 쌍방울그룹 본사와 계열사에 검사와 수사관 수십명을 보내 관련 자료를 확보 중이다. 수원지검은 최근 ‘쌍방울그룹 횡령·배임 의혹’을 수사하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72
22.08.26
자유주제

10년 전 강남역 침수 사태 보도는 왜 경고로만 끝났을까

2012년 서울 강남역 침수 사태 당시 언론은 앞다퉈 침수 위험성을 경고하면서 '재발 방지'를 강조했다. 2022년 강남역은 또다시 물에 잠겼다. 10년 전 보도들은 왜 이를 막지 못했을까. 25일 미디어오늘이 주최한 '2022 저널리즘의 미래 컨퍼런스'가 서울 강남구 슈피겐홀에서 열렸다. 이날 '비판적 사고와 협력, 솔루션 저널리즘의 실천적 대안'을 주

울트라맨8|22.08.2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0
22.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