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자살 사망자 94%가 사망 전 '위험 신호' 보낸다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1,145

국내 자살사망자에 대한 심리부검 분석 결과, 94%가 사망 전 자살을 직접 언급하는 등 경고 신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살 사망자의 유족들은 80% 이상이 우울증을 경험하고 60%는 자살 생각을 하는 위험한 상태에 놓여 있어 사회적인 지원과 사후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 자살사망자 94%, 자살 언급·주변 정리 등 신호 보내 보건복지부는 19일 2015년부터 2021년까지 7년 동안 진행한 자살 사망자의 심리부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심리부검은 자살 유족의 진술·기록 등을 통해 사망자의 자살 원인을 추정·검증하는 조사 방법이다. 7년간 심리부검 분석대상이 된 자살 사망자는 19세 이상 성인 801명인데, 35~49세 중년기의 비율(33.7%)이 가장 높았다. 사망 당시 소득이 전혀 없거나(18.7%) 월평균 소득 100만 원 미만(22.1%)인 저소득층 비율이 전체 심리부검 대상자의 40.8%에 달했고, 약 50%가 부채를 갖고 있었다. 자살사망자의 94%는 사망 전 경고 신호를 보였다. 심리부검 대상자 801명 중 753명은 사망 전 죽음에 대해 직접 언급하거나,주변 정리, 수면 상태 변화 등 언어·행동·정서적 변화가 나타났다. 사망 전 3개월 이내 변화를 살펴보면, 32.3%가 감정 상태의 변화를 보였다. 수치심, 외로움, 절망감 등을 느끼거나 표현했고, 평소보다 짜증을 잘 내는 모습을 보였다. 24.6%는 무기력함을 보였고, 24.4%는 평소보다 덜 먹거나 더 먹는 등의 식사 상태의 변화가 있었다. 또 전체 심리부검 대상자의 35.8%는 사망 전 과거 한 번 이상의 자살 시도를 했던 경험이 있었다. 자해 행동은 특히 청년기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자해 행동을 한 자살사망자 전 연령의 56.1%가 청년기에 해당했다.

자살 사망자 94%가 사망 전 '위험 신호' 보낸다자살 사망자 94%가 사망 전 '위험 신호' 보낸다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