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월가, 내년 상반기 중 금리인하 재개에 베팅"..이유는?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53

월가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내년 상반기 중에는 금리인하를 재개할 것이라는 전망이 퍼지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5일(현지시간) 전했다. 투자자들은 올해 연말까지는 공격적인 금리인상이 이어지겠지만 경기침체 우려로 내년 상반기 중에는 금리인하가 시작될 것이라는 데 베팅하고 있다는 것이다. 경기 침체 우려가 높아질수록 연준이 인플레이션보다는 경기 침체의 위험을 크게 인식하고 빠르게 정책 변화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최근 주택 수요 감소와 부진한 소비 지출은 경제가 예상보다 더 빠르게 둔화될 수 있다는 징후로, 연준의 정책 변화를 촉발할 것이라는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고 WSJ은 덧붙였다. 이같은 심리는 최근 미 장기 국채 금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3%를 넘었던 10년물 미 국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이며 지난 22일에는 2.781%에 마감했다. 5월27일 이후 약 두 달 만에 최저치다. 이날은 2.79%대에서 거래됐다. 시장 금리의 벤치마크인 10년물 미 국채 금리가 내려가는 이유가 내년 연준 금리인하 선회 전망 때문이라는 진단이다. 장기 금리가 억제되고,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도 다소 낮아지면서 대표적인 위험자산인 주식 가격도 다소 오르고 있다고 분석이 나온다. WSJ은 “현재 투자자들은 연준이 오는 27일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고 연말까지 3.3%로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그 이후에는 더 이상 금리를 올리지 않고 내년 6월 전에 금리를 인하해 2024년 중순까지는 기준금리를 약 2.5%로 낮출것으로 장담하고 있다”고 전했다. 과거에도 연준이 금리인상 후 1년이 이내에 금리인하로 선회한 사례가 여러번 있다. 가장 최근에는 2018년 연말 금리를 올린 이후 2019년 7월에 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바 있다. 또 올해와 비슷한 속도로 금리를 올렸던 1990년대 중반에는 1995년 2월까지 기준금리를 총 3%포인트 높인 뒤 같은 해 7월 금리를 인하했다. 당시에는 5월이 돼서야 미 국채 수익률이 하락했다.

'월가, 내년 상반기 중 금리인하 재개에 베팅'..이유는?'월가, 내년 상반기 중 금리인하 재개에 베팅'..이유는?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