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낙폭과대 성장주 강세지만..외인 자금이탈 대비해야"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1,027

최근 낙폭 과대 성장주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유동성이 풀리는 시기의 ‘대세상승’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왔다. 연초 이후 조정을 받은 업종들의 순환매장인 만큼, 외국인 자금 이탈에도 대비해야 한다는 얘기다. 1일 나정환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미 10년물 국채 금리가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인터넷 등 낙폭 과대 성장주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는데 이는 해당 종목들이 낙폭이 과대했던 점도 있지만, 7월 FOMC 이후 가격에 대한 부담이 낮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와 미국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발표된 이후 미국 기준금리에 대한 불확실성이 낮아지고 있다”면서 “미국 경제가 기술적으로 침체기에 돌입하면서 미 연준이 향후에 75bp(1bp=0.01%포인트) 인상 등 강도 높은 긴축을 이행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 실제 미국 기준금리의 연말 값이 3.25~3.5% 사이에서 결정될 가능성이 커지고 부진한 미국 경제 지표가 발표되면서 미 10년물 금리의 하락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과거 블룸버그에서 집계하는 경기 침체 확률이 높아지는 구간에 미 10년물 금리는 대체로 하락한 바 있다. 이는 주식 가격의 부담을 낮춰주는 요인으로 작용했고, 낙폭 과대 성장주에 우호적인 상황이라는 설명이다. 나 연구원은 “이에 따라 연초 이후 미 연준의 급격한 긴축 정책으로 조정을 크게 받았던 성장주가 반등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는 유동성이 풀리는 성장주의 대세 상승기라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연초 이후 조정을 받은 업종의 비중을 높이는 등 순환매장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정보통신(IT)소프트웨어 외에 낙폭과대 업종은 화장품, 의류와 헬스케어 업종이 있다고 조언했다. 나 연구원은 “미국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낮아지고 애플,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의 2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나쁘지 않게 나오는 등 증시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국내 증시 흐름 역시 양호한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면서도 “리스크 요인은 존재한다”고 우려했다. 바로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중단으로 인한 유럽의 에너지 위기 가능성이다.

'낙폭과대 성장주 강세지만..외인 자금이탈 대비해야''낙폭과대 성장주 강세지만..외인 자금이탈 대비해야'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