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다음글
자유주제

삼성도 총수의 회장 취임 임박..지배구조 개편 속도

HYUNDAI 로고 이미지BMW 로고 이미지
울트라맨8Lv 116
조회 수718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본격적인 경영활동 재개로 4대 그룹 가운데 유일하게 총수가 회장직을 맡고 있지 않은 삼성도 연내 이 부회장의 회장 승진을 단행할 가능성이 커졌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8·15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이 부회장의 손·발을 묶었던 5년간의 취업제한이 풀리면서 삼성은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는 이 부회장의 회장 승진을 추진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삼성이 고(故) 이건희 회장의 부재 이후 오랫동안 회장직을 공석으로 남겨둔 가장 큰 이유는 이 부회장의 사법리스크였다. 2012년 연말 인사에서 부회장으로 승진한 이 부회장이 2020년 10월 이 회장 사망 후 공석인 회장직에 오를 수도 있었지만, 당시 이 부회장은 국정농단 사건 때문에 사법리스크를 안고 있어 회장 승진이 어려웠다. 사실상 삼성의 경영 전체를 책임지고 있었음에도 사법리스크 때문에 회장직에 오를 수 없었던 것이다. 이에따라 재계에서는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복권된 이 부회장이 최대한 빠른 시일 내 회장으로 승진해 삼성의 구심점 역할을 할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다. 이 부회장은 2019년 10월 만료된 등기이사에 복귀한 후 회장으로 승진할 수도 있지만, 등기이사 복귀를 위해서는 주주총회 통과 등의 절차가 필요한 만큼 미등기 임원 상태에서 내부승진을 통해 먼저 회장 승진을 할 가능성도 열려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위기에 둘러싸인 삼성은 과감한 의사결정과 조직개편을 단행할 수 있는 구심점 역할이 절실하다. 대규모 기업 인수·합병(M&A)과 투자, 지배구조 개편 등을 위해서는 이 부회장이 회장 승진이 최대한 빠르게 단행돼야 한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삼성의 오랜 숙제였던 지배구조 개편도 이 부회장의 회장 승진 후 속도를 낼 가능성이 크다. 삼성은 2013년부터 지배구조 개편을 추진했지만 이 부회장이 징역 2년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으면서 관련 작업이 미뤄졌다. 현재 삼성의 지배구조는 이 부회장 등 오너일가→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이어진다. 이 부회장을 비롯한 오너 일가가 삼성물산 지분 31.31%를 보유 중이며 이 지분을 통해 삼성생명, 삼성전자를 간접 지배하는 형태다. 현재 야당이 추진 중인 보험업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8.51%)의 대부분을 매각해야 하므로 이 부회장의 그룹 지배력이 약해지게 된다. 또 삼성생명이 삼성전자 주식을 매각하는 과정에서 소액주주의 피해 및 외국 투기자본 노출 리스크도 커진다.

삼성도 총수의 회장 취임 임박..지배구조 개편 속도삼성도 총수의 회장 취임 임박..지배구조 개편 속도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