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2021 상하이] 토요타부터 알리바바까지…전기차 춘추전국시대 개막!

Lv 1

21.04.20

view_cnt

658

2021 오토상하이가 이달 19일 프레스데이를 시작으로 개막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 여파에도 불구하고 1000여곳의 업체가 참여했다. 이번 모터쇼에서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대전환기를 엿볼 수 있었다. 사실상 모든 브랜드가 신형 전기차 필두로, 다양한 미래 전략을 소개했다.  폭스바겐과 토요타 등은 중국 현지화에 한층 집중했고, 현대기아차도 매년 새로운 전기차를 투입해 시장점유율 회복을 선언했다. 이어 중국 전기차 업체들은 차별화된 전략으로 안방 시장 방어에 나섰다. 글로벌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은 불과 몇년 사이 전기차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됐다. 작년 한 해, 중국 내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대비 10.9% 증가한 136만7000대를 기록했다. 2021년 1분기 전기차 판매량도 40만대에 달하며 2배 이상 늘어났다.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정책 지원을 바탕으로 올해 전기차 판매량은 2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관측된다.  #폭스바겐부터 토요타까지…'공룡'들의 반격 SUV 및 현지전략형 모델 출시에 급급했던 지난 모터쇼와 달리, 이번 상하이에서는 대부분의 글로벌 브랜드가 전기차를 전면에 내세웠다.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는건 폭스바겐그룹이다. 오는 2030년까지 중국 내 전기차 판매 비중 50% 목표를 선언했다. 폭스바겐 브랜드는 'ID.6X'와 'ID.6 크로즈'를 선보였다. 두 신차는 2019 오토상하이에서 공개된 'ID.룸즈'를 양산화한 모델로, 상하이자동차(SAIC)와 제일자동차그룹(FAW) 등이 참여한 중국 합작법인에서 각각 생산된다. 58kWh 및 77kWh급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완충 시 436km와 588km를 주행할 수 있다(중국 NEDC 기준).  아우디도 상하이자동차와 함께 순수 전기 SUV를 올 하반기 선보이고, 제일자동차그룹과는 장춘에 전기차 생산 시설을 건설하기로 약속했다. 아우디와 제일자동차그룹은 오는 2024년부터 PPE 플랫폼을 바탕으로한 현지전략형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그간 전기차에 소극적이던 토요타도 전기차 전용 브랜드 'bZ'를 발표하고, 본격적인 시장 진입을 알렸다. 다양한 사용 환경을 고려해 넉넉한 주행거리를 확보하고, 전기차만의 개방적인 디자인과 공간성을 구현하겠다는 목표다. 새로운 전기차 브랜드에는 토요타의 다양한 계열사 및 협력사가 참여했다. 스바루가 동력 계통 등 전반적인 설계 부문을 맡았고, 다이하츠와 스즈키는 소형차 개발 노하우를 제공한다. 더불어 BYD가 중국 현지 배터리 공급을 담당할 예정이다. 토요타는 이날 공개된 'bZ4X'를 오는 2022년부터 양산한다. 이어 2025년까지 15종의 새로운 전기차도 내놓을 계획이다. #맞불 놓은 중국차…알리바바·화웨이까지 가세 중국 현지 업체들도 만만치 않았다. 성숙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IT업계와의 공고한 협력 체계를 과시했다. 샤오펑은 레벨3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한 전기차 'P5'를 내놓았다. 샤오펑 측에 따르면, 라이다 센서를 기반으로 한밤 중에도 보행자와 자전거, 스쿠터 등을 정확히 식별하고 다양한 주행 환경에 대처할 수 있다. 고속도로 등 특정 주행 조건에서 부분 자율주행을 지원한다. 니오는 첫 세단형 전기차 'ET7'을 공개하고, 오는 2025년까지 자체 충전 인프라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헤이룽장, 길림, 랴오닝, 내몽골 등을 포함한 8개 성과 자치구에 5000개 이상의 교체형 배터리 스테이션을 열고, 중국 내 120개 도시에서 이동형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전국 각지에 초급속 충전기 1만기 설치 계획도 발표했다.  중국 토종 자동차 브랜드와 IT기업 간 협업 모델도 공개됐다. 알리바바는 상하이자동차와 전기차 브랜드 '즈지(智己)'를 출범시키고, 대형 세단 'L7'을 최초로 공개했다. 모터쇼 기간 동안 예약 판매를 진행하고 본격적인 양산을 추진한다.  화웨이는 베이징자동차와 협력해 제작한 '아크폭스 알파 S'를 선보였다.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 700km(NEDC 기준)를 확보했고, 10분 충전으로 최대 190km를 달릴 수 있는 초급속 충전 기술도 갖췄다. 6개 밀리미터파 레이더와 12개 카메라, 13개 초음파 레이더 등을 통해 레벨3 자율주행도 구현한다.  #현대기아차, 명예회복 안간힘 현대기아차는 아이오닉5와 EV6, G80e를 공개하고, 본격적인 현지 시장 재탈환에 나섰다. 지난해 현대기아차의 중국 판매량은 66만4774대에 머물렀다. 이는 2016년(180만대) 대비 1/3수준에 불과하다. 현대기아차는 매년 전기차 전용 모델을 출시하고 제품 라인업을 공고히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총 21종의 전동화 라인업을 구축하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21종인 내연기관 모델은 2025년까지 14종으로 축소시킨다. 수소차 넥쏘를 중국에 투입하는 한편, 수소 사회 전환에도 박차를 가한다. 지난해 착공한 에이치투(H TWO) 광저우를 비롯해 수소연료전지 기술을 중점적으로 육성한다. 제네시스 브랜드도 본격적인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선다. 제네시스는 최근 상하이에 브랜드 체험과 차량 구입이 가능한 제네시스 스튜디오 상하이를 개소하며 현지 시장 공략에 대한 고삐를 죄고 있다. 
[2021 상하이] 토요타부터 알리바바까지…전기차 춘추전국시대 개막!

[2021 상하이] 토요타부터 알리바바까지…전기차 춘추전국시대 개막!

사이트 방문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현대차, 2021 쏘나타 출시…터보 디자인 확대 적용

현대차가 한층 역동적인 디자인을 적용하고 트림을 단순화한 '2021 쏘나타'를 출시한다고 21일 밝혔다. 신차는 1.6 터보 모델의 센슈어스 디자인을 2.0 가솔린 모델에 확대 적용했다. 전면부는 파라메트릭 쥬얼 패턴이 적용된 유광 블랙 컬러 그릴이 강렬한 첫 인상을 발산한다. 좌우로 길게 뻗은 하단 에어 인테이크 홀과 공력을 고려한 에어커튼 등이 강인하

|21.04.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41
21.04.21
자유주제

[이완 칼럼] 벤츠 신임 회장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 "끝이 안 좋은 석기시대 사람"

지난해 12월, 메르세데스와 스마트 등을 소유하고 있는 다임러 그룹은 베른트 피셰츠리더 (Bernd Pischetsrieder)를 그룹의 새로운 감독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리고 발표한 대로 올해 3월 말부터 베른트 피셰츠리더는 감독이사회 의장으로서 임기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독일에서는 그의 의장 선임을 두고 많은 말이 나왔습니다. 대부

|21.04.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27
21.04.21
자유주제

볼보트럭, 대형전기트럭 3종 공개…주행거리는 얼마?

볼보트럭이 21일(현지시간) 유럽 시장에서 대형전기트럭을 공개했다. 대형트럭 FH·FM·FMX를 기반으로 제작된 신차들은 다양한 운송 요구 사항에 맞게 설계됐다. FH와 FM은 도심 및 중장거리 화물 운송 목적에 쓰이고, FMX는 건설 현장 투입을 염두했다. 볼보트럭은 이를 통해 보다 더 깨끗하고 조용한 작업 환경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기

|21.04.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3
21.04.21
자유주제

[스파이샷] 'E클래스 전기차' EQE, 뉘르부르크링 테스트 돌입

메르세데스-벤츠 EQE가 20일(현지시간) 독일 뉘르부르크링 서킷에서 포착됐다. 외관은 전기차 EQ 브랜드 특유의 디자인 정체성을 담고 있다. 활 모양을 연상케하는 실루엣을 비롯해 블랙 패널이 부착된 그릴과 긴 휠베이스, 그리고 짧은 오버행 등이 대표적이다. 앞서 공개된 EQS와 유사하다. 모터그래프에 스파이샷을 제공하고 있는 스테판 발도프는 "(EQE

|21.04.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6
21.04.21
자유주제

현대차 2층 전기버스, 서울-인천 투입…김포·용인·화성 등 확대

현대차의 2층 전기버스가 수도권 광역 노선을 누빈다. 현대차는 21일 인천선진교통 충전차고지에서 2층 전기버스 1호차 전달식을 가졌다. 이날 전달된 1호 버스는 이달 26일부터 인천 송도에서 삼성역까지 운행하는 기존 M6450번 광역버스 노선에 투입된다. 이어 김포와 남양주, 용인, 화성 등 주요 광역버스 노선에서 40여대가 올해 순차적으로 운영될 계획이

|21.04.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9
21.04.21
자유주제

[시승기] "디젤 멈춰!" 외친 볼보의 플래그십 S90·XC90

최근 본 볼보자동차의 TV 광고는 무척 인상 깊다. 충돌 테스트부터 도로 이탈 테스트, 눈길 테스트, 그리고 크레인에서 차량을 떨어뜨리기까지 각종 안전 테스트를 진행하던 중 갑자기 빙벽이 무너진다. 이어 '볼보가 생각하는 가장 극한의 안전 테스트는 기후 변화'란 메시지가 나온다. 볼보는 이것이 전기차 회사로 전환하는 이유라고 전한다. 광고뿐만이 아니다. 

|21.04.07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5
21.04.07
자유주제

BMW 신형 M3·M4 출시…'드리프트 패턴까지 분석한다'

BMW코리아가 22일 신형 M3 및 M4 컴페티션 모델을 공식 출시했다. 신차는 BMW의 고성능 디비전 M을 대표하는 스포츠 모델이다. 수직형 키드니 그릴을 비롯한 새로운 디자인 언어를 적용했고, 한층 강력하고 역동적인 성능을 겸비했다. 회사는 이날 판매를 시작한 컴페티션에 이어 사륜구동 모델 M xDrive도 하반기 중 선보일 계획이다. 두 모델의 외

|21.04.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0
21.04.22
자유주제

캐딜락, 483km가는 전기차 리릭 공개…신기술 잔뜩 넣고 내년 출시

캐딜락이 21일(미국 현지시간) 순수 전기차 리릭의 양산형을 공개하고, 본격적인 생산 준비에 돌입했다. 신차는 작년 8월 공개된 동명의 쇼카를 기반으로 한 모델이다. 전기차 전용 아키텍쳐를 바탕으로 파격적인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을 갖췄고, 첨단 주행 보조 시스템 및 급속 충전 기술 등을 겸비했다. 리릭의 외관은 캐딜락 브랜드의 새로운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21.04.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62
21.04.22
자유주제

기아 셀토스·쏘울, 미국서 엔진 교체 리콜…"또 화재 가능성, 국내는 해당 안 돼”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19일(현지시간) 기아 셀토스와 쏘울 리콜을 발표했다. 규모는 총 14만7249대다. 대상 차량은 2.0리터 누우 MPI 엔진이 탑재된 2021년식 셀토스 및 쏘울 등 2개 차종이다. 국내에서 전량 생산된 두 모델은 피스톤 오일 링의 불규칙한 열 처리 공정으로 인해 엔진이 손상될 가능성이 발견됐고, 이로 인한 동력 손실

|21.04.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80
21.04.22
자유주제

현대차, 1분기 순이익 급등…"SUV·제네시스가 이끌었다"

현대차가 22일 서울 양재 본사에서 컨퍼런스 콜을 갖고, 올해 1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했다. 코로나19 기저 효과로 모든 지표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제네시스와 SUV 등 고수익 제품군의 판매 증가가 더해졌다. 현대차 1분기 글로벌 판매량은 전년대비 10.7% 증가한 100만281대를 기록했다. 내수 시장에서는 투싼과 GV70 등 신차효과를 바탕

|21.04.22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18
21.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