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자유주제

[사설] 미국 '전기차 보조금' 한미 FTA 규정 위반하지 말아야

GoFoward

Lv 102

22.08.19

view_cnt

614

미국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위배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17일부터 시행한 것은 매우 우려되는 일이다. 이 법은 북미 지역에서 생산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7500달러까지 지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대차 아이오닉과 기아 EV6 등 한국에서 생산돼 수출되는 전기차는 보조금을 받을 수 없게 됐다는 뜻이다. 한미 FTA에는 "국내 상품에 부여하는 대우보다 외국 상품을 불리하게 대우해서는 안된다"는 '내국인 대우 의무 규정'이 명시돼 있다. 미국 차에만 보조금을 주고 한국 차에 지급하지 않는다면 그 규정에 저촉될 가능성이 크다. 또 한미 FTA에는 "다른 나라 상품이나 투자자에게 부여한 우대 조치를 FTA 체결국에도 부여해야 한다"는 '최혜국 대우 조항'이 명시돼 있다. 북미 지역의 캐나다와 멕시코 등에만 보조금 혜택을 주고 한국 자동차를 배제한다면 이 조항에도 저촉된다고 봐야 한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기업집단 총수에 한국인뿐 아니라 외국인도 지정할 수 있도록 하려 하자 미국은 한미 FTA 규정을 들어 크게 반발했다. 에쓰오일의 대주주인 사우디아라비아 왕가는 총수로 지정하지 않으면서 한국GM의 대주주인 미국인을 총수로 지정하는 것은 '최혜국 대우' 위반이라는 주장이었다. 결국 외국인을 대기업집단 총수로 지정하려던 공정위 계획은 철회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던 미국이 한미 FTA 규정을 버젓이 위반하면서 한국 차를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한다면 앞뒤가 안 맞는 행동이다. 현대차·기아는 올해 들어 7월까지 미국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량을 4만대 가까이 끌어올리며 시장 점유율도 2위까지 뛰어올랐다. 이런 한국 전기차에 대해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미국 소비자들의 손해와 불만도 작지 않을 것이다.

댓글

1

울트라맨8

Lv 116
22.08.19

FTA국은 뺴주는게 맞죠ㅠ

댓글 좋아요

0

대댓글

0

자유주제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유럽이 전기차 속도조절 나서는 이유

유럽은 그동안 세계적인 전기차 대전환의 선두에 서 있었다. 탄소배출을 줄여 기후변화를 막아야 한다는 명분으로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목표까지 내걸고 보급에 열을 올렸다. 지난해 유럽연합(EU) 국가들에서는 92만 대가 넘는 전기차가 팔렸다. 1100만 대가량인 EU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8.3% 수준이다. 자국 전기차 산업 육성을 중대한 산업 정책으

GoFoward|22.08.19
like-count1
commnet-count1
view-count884
22.08.19
자유주제

전기차·배터리 업계, 서로 “차 팔아도 남는 게 없다

지난달 21일(현지 시각) 중국 쓰촨성 이빈에서 열린 ‘2022 세계 배터리 콘퍼런스’. 이 자리에선 전기차업체와 배터리업체 최고 경영진이 설전을 벌이는 이례적 상황이 벌어졌다. 이날 기조연설자로 나선 쩡칭훙 광저우자동차 회장은 “배터리 값이 계속 상승해 전기차 비용의 60%를 차지한다”며 “(완성차업체가) 배터리업체 CATL을 위해 일하는 것 같다”고 꼬

GoFoward|22.08.19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79
22.08.19
자유주제

전기차 오너에 딱…삼성카드 '삼성 iD EV 카드', 충전요금 최대 70% 할인

삼성카드는 전기차 충전요금을 최대 70% 할인받을 수 있는 '삼성 iD EV 카드'를 발급하고 있다. 전월 이용금액이 30만원 이상일 경우 전기차 충전요금 50% 할인이 월 최대 2만원까지 제공되고, 전월 이용금액이 60만원 이상이면 전기차 충전요금 70%까지 월 최대 3만원까지 할인(모두 결제일 할인)받을 수 있다. 전기차 충전요금 할인 혜택은 환경부

GoFoward|22.08.19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787
22.08.19
자유주제

美전기차 세금혜택 '한국車 전멸'...현대차‧기아 '낀 신세'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제정에 따라 전기차 세액공제가 변경되면서 한국 자동차 업체들이 혜택 대상에서 제외됐다.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상승세를 달리던 현대차·기아의 영업 환경이 악화되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미국 연방국세청(IRS)에 따르면 현재 미국 시장에 출시한 친환경차 중 IRA 법안에 따라 세액

GoFoward|22.08.19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42
22.08.19
자유주제

스마트폰·전기차 등 기술역전 노리는 中… “韓, 반도체 하나 남았다”

중국과의 수교는 우리 경제성장의 큰 동력이 됐다. 하지만 최근 30년 만의 첫 3개월 연속 대중 무역수지 적자라는 지표가 보여 주듯 ‘중국=수출 텃밭’이라는 공식은 이제 옛말이 됐다. 중국이 막강한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자국 기업을 키우고 기술력을 높여 자급률을 끌어올리면서 우리의 수출 경쟁력이 흔들리고 있다. 반도체 등 핵심 산업에서 미국의 중국 견제도

GoFoward|22.08.19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0
22.08.19
자유주제

266회_기상 전망과 폭우 피해 예방법

266회_기상 전망과 폭우 피해 예방법 Q. 중부지방 역대급 폭우 발생? 폭이 좁은 정체전선 상공에 오래 머물었기 때문 시간당 강우량 141.5mm 115년 만에 많아 서울 469.5mm 경기 여주 419.5mm 경기 광주 403m Q. 폭우로 인명피해 발생? 서울 관악구 반지하 주택 일가족 3명 사망 가로수 정리 작업하던 구청 직원 감전돼 사망 15세

GoFoward|22.08.19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90
22.08.19
자유주제

삼성SDI·LG엔솔·SK온 등 전고체 로드맵 속속 공개..‘상용화 박차

현재 국내에서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가장 가까이 다가섰다는 평가를 받은 곳은 삼성SDI(006400)입니다. 올해 3월 LG에너지솔루션(373220), SK온 등 배터리 3사 중 가장 먼저 전고체 전지 시험생산 라인인 ‘파일럿 라인(S라인)’ 을 착공하면서 전고체 양산 채비에 나선 것입니다. 파일럿 생산 라인은 올해 완공을 목표로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에

GoFoward|22.08.19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77
22.08.19
자유주제

K-배터리, 올 상반기 R&D 1조 투입·인원 1500명 확대…"CATL 넘는다"

전기차 성장 속도에 맞춰 국내 배터리 3사의 연구개발(R&D)과 인력 채용도 속도를 냈다. 19일 LG에너지솔루션(이하 LG엔솔)·SK온·삼성SDI 등 3사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연구개발에 총 9971억원을 투입했다. 이는 지난해 전체 연구개발 비용(1조6108억원)의 61.9%에 해당하는 규모다. 업체별는 삼성SDI(전자재료 포함)가 5

GoFoward|22.08.19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56
22.08.19
자유주제

푸조·DS, 주행거리 향상 전기차 3종 출시… 가격 4900만~5790만원

주행 가능거리를 개선한 2022년식 푸조 e-208과 e-2008 SUV, DS 3 크로스백 E-텐스 등 전기차 3종을 출시한다. 본격적인 고객 인도 시점은 9월 말이다. 19일 스텔란티스 코리아에 따르면 푸조 e-208과 e-2008 SUV, DS 3 크로스백 E-텐스 등 전기차 3종은 지난 2020년 국내 출시됐으며 2022년식으로 새롭게 거듭난 3종

GoFoward|22.08.19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875
22.08.19
자유주제

중국보다 더한 '아메리카 퍼스트'…생존 기로에 선 韓 전기차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따라 전기차 세액공제를 받는 차종 중 약 78%가 미국 브랜드 모델로 나타났다. 중국을 견제해 전기차·배터리 산업 패권을 쥐겠다는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행보에 정작 안보·경제동맹인 한국과 일본, 독일 완성차업계가 밀려나는 모양새다. ■ 보조금 받는 28개 모델 중 22개가 미국 브랜드 18일 미국 에너지부가 공개한 '북

GoFoward|22.08.19
like-count1
commnet-count0
view-count654
22.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