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스

[시승기] 마세라티 기블리 S Q4 '본질이 주는 가치'

Lv 1

21.06.08

view_cnt

1,405

사막의 모래 폭풍'을 의미하는 기블리는 마세라티 엔트리 모델이자, 르반떼와 함께 브랜드 판매량을 견인하는 볼륨 차종이다. 기블리는 지난 2013년 국내 출시 당시 '강남 쏘나타' 반열에 오를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구가하며 국내 소비자들에게 마세라티 브랜드를 제대로 각인하는 데 일조했다. 그러나 8년이 지난 지금, 대부분의 경쟁 모델들이 풀 체인지를 거쳤음에도 소비자들은 여전히 그 시절과 크게 달라지지 않은 기블리를 만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이어지자 자연스레 모델 노후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기블리는 과연 2021년에도 충분한 매력을 보여줄 수 있을까. 이번 시승 모델은 국내 판매되는 라인업 중 가장 상위 트림인 '기블리 S Q4 그란스포츠'다. 기블리는 출시 이후 페이스리프트와 마이너체인지 등 소소한 변화를 거쳤지만, 초기형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 8년이 넘는 시간이 지났음에도 외모만큼은 최근 출시된 신차들과 비교해 크게 밀리지 않는 포스를 풍긴다. 커다란 프론트 그릴 가운데 위치한 포세이돈의 삼지창과 사이드미러를 통해 존재감을 드러내는 리어 펜더, 여기에 검게 칠한 휠 및 쿼드타입 머플러 등 기블리 S Q4 만의 카리스마 넘치는 디자인은 여전히 완성도가 높다. 이어 멋스럽게 드러나는 프레임리스 도어가 운전자를 반긴다. 도어를 여는 순간부터 여타 세단과 다른 궤를 보여준다. 공격적인 외관에 비해 전반적인 인테리어는 한결 차분하다. 계기판은 두 개의 바늘과 디스플레이가 조화를 이루고, 중앙에는 아날로그 시계와 8.4인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자리한다. 모니터는 겉보기엔 다소 투박하지만, 높은 해상도와 빠른 터치 반응 속도로 인해 실사용에 불편함은 없다. 동급 경쟁 모델에서는 보기 힘든 고급 기능을 챙겼다. 프리스톱 힌지를 적용해 각도에 상관없이 도어 개폐가 가능하다. 기본 적용되는 소프트 도어 클로징 기능과 궁합도 좋다. 여기에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조절이 가능해 운전자가 원하는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차체 크기는 전장과 전폭 전고가 각각 4975x1945x1480mm이며, 휠베이스는 3000mm에 달한다. 전형적인 E세그먼트 사이즈이다. 다만 실제 탑승 시 뒷좌석 공간은 그렇지 못하다. 2열만 놓고 보면 한 체급 아래인 D세그먼트 모델과 유사하다. 뒷좌석 공간과 더불어 부분부분 트렌드에 뒤처진 실내 디자인 포인트도 아쉽다. 그럼에도 여전히 고급스러운 소재와 깔끔한 인테리어 구성을 통해 마세라티만의 매력을 발산한다. 스티어링 휠 가운데 큼직하게 위치한 삼지창과 거대한 패들 시프터가 아쉬운 마음을 슬며시 녹인다. 기블리 S Q4는 최고출력 430마력, 최대토크 59.2kgf·m의 3.0리터 V6 트윈 터보 엔진을 탑재했다. 마세라티가 설계한 V6 트윈터보 엔진은 이탈리아 마라넬로에 위치한 페라리 공장에서 만들어진다. 여기에 ZF 8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린다. 최고안전속도는 286km/h이며, 정지상태에서 100km/h에 도달하는 시간은 4.7초다. 시동 버튼은 스티어링 휠 왼편에 있다. 소소한 디테일이 태생부터 모터스포츠 혈통임을 강조한다. 버튼을 누르자 걸걸한 배기음이 터져나온다. 노멀 모드에서 실내는 한결 조용하다. 마세라티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와 사뭇 거리가 있다. 그저 평범한 세단처럼 부드럽게 나아간다. 공차중량은 2070kg으로 꽤 무겁지만, 최대토크가 2500rpm부터 나오는 만큼 답답함은 느낄 수 없다. 스포츠 모드를 체결하면, 가변배기 플랩이 열리며 우렁찬 배기음을 뿜어낸다. 좁은 골목이나 지하주차장에서는 공회전만으로도 엄청난 존재감을 드러낸다. 이와 함께 스티어링 휠은 무게감 있게 바뀌고, 가속 페달 반응은 더욱 민감해진다. 기블리는 스포츠 모드에서 가장 마세라티답다. 특히 굽잇길에서 돌리는 맛이 좋다. 전륜 서스펜션은 접지력 확보에 유리한 더블 위시본 타입으로 마감했다. 빠른 속도에서도 좌·우 롤링을 버텨내는 한계점이 높다. 단단한 하체가 주는 움직임이 기블리에 대한 믿음을 만들어낸다. 여기에 전자식 사륜구동 시스템 'Q4'는 차량을 제어하는 데 있어 기능적으로나 심리적으로 큰 도움을 준다. 커다란 알루미늄 재질의 패들 시프터가 자꾸만 수동 변속을 재촉한다. '철컥'하는 느낌이 마치 기계 장치를 조작하는 듯하다. 패들은 컬럼에 고정됐지만 길쭉하게 뻗어있어 코너에서도 위치를 가늠하기 쉽다. 재질과 크기, 조작감 모두 만족스럽다. 패들을 조작해 의도적으로 rpm을 높여본다. 속도를 높이지 않아도 V6 엔진을 울부짖게 만들 수 있다. 400마력이 넘는 고성능 차량이지만, 발진 가속을 돕는 런치 컨트롤은 빠졌다. 해당 기능은 아직 국내에서 볼 수 없는 최상위 라인업 '기블리 트로페오'에게만 허락됐다. 고속도로 정속 주행 연비는 어떨까. 100km/h에서 8단 1500rpm이 채 안된다. 에코 모드에 해당하는 I.C.E 모드를 체결하자 순간 연비는 13km/L를 상회한다. 이어진 정속 주행에서도 12km/L를 넘는 평균 연비를 기록했다. 마세라티 기블리 S Q4를 시승하며 기계식 손목시계가 떠올랐다. 시장에서 판매량으로 절대적 우위를 갖는 스마트 워치는 기계식 손목시계보다 더 정확하고, 더 화려하며, 더 많은 기능을 품고 있다. 그렇지만, 결국 사람들은 기계식 무브먼트를 지닌 손목시계를 더 가치있게 여긴다. 기계식 손목시계를 원하는 소비자들은 화려한 기능을 원치 않는다. 그 대신 시계가 가진 본질, 혹은 브랜드가 지닌 가치를 위해 기꺼이 지갑을 열고 소유하기를 원한다. 기블리도 이와 같다. 최첨단 기능보다 스포츠 세단이 주는 본능 혹은 마세라티라는 브랜드가 주는 가치를 보고 기블리를 선택한다면 충분히 선택지가 될 것이다. 아쉽게도 기블리의 후속 모델 소식은 들려오지 않는다. 마세라티가 공개한 미래전략 로드맵에는 신형 SUV '그리칼레'와 '콰트로포르테' 및 '그란투리스모' 후속 등이 이름을 올렸지만 기블리는 찾아볼 수 없다. 일부 글로벌 시장에 마일드 하이브리드를 탑재한 '기블리 하이브리드'를 마지막으로, 브랜드 전략과 전동화 시대에 맞춰 이대로 단종될 가능성이 높다. 어쩌면 순수 내연기관을 지닌 기블리는 이번이 마지막일 지도 모르겠다. 마세라티 기블리 가격은 엔진 및 트림에 따라 1억2057만원~1억5057만원 등이다. ※ 해당 차량은 브랜드 및 제작사에서 제공한 시승용 차량입니다.
[시승기] 마세라티 기블리 S Q4 '본질이 주는 가치'

[시승기] 마세라티 기블리 S Q4 '본질이 주는 가치'

사이트 방문
마세라티 기블리 21년식

S Q4

1억 3,757만원
기블리

댓글

0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가장 먼저 댓글을 남겨보세요
자유주제

벤츠코리아, 시동 꺼지는 E클래스 5900대 무상수리…마일드 하이브리드 결함!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최근 시동 꺼짐 문제로 논란을 겪은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해 무상수리를 진행한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16일 E클래스(E350 4매틱, 2020년 3월~2021년 5월 생산) 5956대를 대상으로 무상수리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해당 차량은 48V 온보드 전기 시스템의 배터리 컨트롤 유닛 소프트웨어가 사양에 맞지 않아 차량

|21.06.18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04
21.06.18
자유주제

디젤 멈춰! 친환경 1톤 상용차가 뜬다…전기차냐 LPG냐 그것이 문제로다

국내 소형 상용차 시장에서 친환경 모델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 다마스와 라보가 단종됐지만 이를 대신할 LPG 상용차가 늘어났고, 도심 운행에 최적화된 전기 상용차가 출시된 덕분이다. 2018년 95%에 육박했던 디젤 비중은 올해(1~5월) 74.8%로 20.2%p 줄었다.   # LPG 보조금, 최대 1020만원!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20

|21.06.16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29
21.06.16
자유주제

[시승기] 페라리 포르토피노 M "이쯤되면 막내의 반란!"

페라리의 엔트리 모델 포르토피노 M을 시승할 기회가 생겼다. 고성능 컨버터블을 몰고 서킷부터 공도까지 다양한 코스가 포함된 기회다. 설레는 마음을 안고 시승 장소로 출발했다. 그런데 날씨가 도와주지 않는다. 아침부터 잔뜩 흐린 하늘은 시승 장소에 도착하자마자 빗방울까지 조금씩 떨어지기 시작한다.  궂은 날씨에 시승한 적은 많지만, 600마력 넘는 컨버터블

|21.06.15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149
21.06.15
자유주제

[주간F1] "전략의 승리" 레드불, 7R 더블 포디움…팀·드라이버 선두 질주

레드불 레이싱 팀이 2014년 이후 6년 만에 3연속 그랑프리(GP) 우승을 차지했다.  레드불 소속 맥스 페르스타펜이 20일(현지시간) 열린 2021시즌 포뮬러 원(F1) 7라운드 프랑스 그랑프리에서 1시간27분25초770의 기록으로 폴투윈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경기는 우승 후보 간 타이어 교체 전략에서 뚜렷한 차이를 드러냈다. 메르세데스-AMG는

|21.06.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58
21.06.21
자유주제

[이완 칼럼] 아우디, 엔진에 작별을 고하다 “A4로 시작해 Q8로 끝”

지난 17일, 독일 유력지 쥐트도이체차이퉁은 아우디가 2026년부터 가솔린과 디젤 엔진이 달린 새로운 모델을 내놓지 않을 것이라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마르쿠스 뒤스만 아우디 회장이 직원들에게 발표한 내용이 외부로 유출이 된 것으로, 여전히 아우디는 이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지만 주간지 슈피겔은 쥐트도이체차이퉁이 전한 소식이 사실임을 아우디 관

|21.06.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859
21.06.21
자유주제

랜드로버, 부분변경 거친 '뉴 디스커버리' 국내 출시…8680만원부터

랜드로버코리아가 프리미엄 7인승 패밀리 SUV '뉴 디스커버리'를 출시하고 본격 판매를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뉴 디스커버리는 최첨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피비 프로를 탑재하고 디자인과 편의 사양까지 업그레이드하며 상품성을 강화했다. 외관은 리어램프와 앞·뒤 범퍼 하단, 에어 인테이크, 그릴, 휠, 사이드 벤트 등에 새로운 디자인을 적용해 강인하면서

|21.06.21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927
21.06.21
자유주제

재규어코리아, 럭셔리 퍼포먼스 SUV '뉴 F-페이스' 출시…가격 7350만원부터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가 퍼포먼스 럭셔리 SUV F-페이스의 부분 변경 모델 '뉴 F-페이스'를 10일 국내에 공식 출시한다. 한층 진보한 모습으로 탄생한 뉴 F-페이스는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가 최근 선언한 4P 전략에 따라 새롭게 구성됐다.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 기술이 적용된 신형 인제니움 디젤 엔진과 브랜드 첨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피비 프로'가 

|21.06.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1,090
21.06.10
자유주제

현대차, 서울시와 '하늘을 나는 자동차' 본격 추진…"상상은 현실이 된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를 타는 시대가 머지않아 우리의 눈 앞에 펼쳐질 전망이다. 현대차는 10일, 서울특별시와 함께 'UAM의 성공적 실현 및 생태계 구축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UAM은 도심항공교통을 뜻하는 'Urban Air Mobility'의 약자로, SF 영화에서 등장하는 '하늘을 나는 자동차'와 비슷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21.06.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76
21.06.10
자유주제

럭셔리 SUV의 아이콘' 캐딜락 신형 에스컬레이드, 7월 국내 출시

캐딜락이 10일 캐딜락하우스 서울에서 출시회를 갖고, 5세대 에스컬레이드를 국내 최초로 공개했다. 7년만에 풀 체인지된 캐딜락의 플래그십 SUV로, 더욱 커진 차체와 새로운 디자인이 적용했으며 동급 최고 수준의 신기술과 편의사양이 들어갔다.  외관은 풀사이즈 SUV 특유의 규모감을 표현하는 데 집중했다. 전장은 기존 모델보다 200mm 길어졌고, 휠베이스

|21.06.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714
21.06.10
자유주제

기아 EV6, 최대 475km 달린다…아이오닉5보다 46km 길어

기아가 첫 출시하는 전용전기차인 EV6의 1회 충전 주행거리가 공개됐다. 기아는 EV6의 77.4kWh 배터리를 장착한 롱레인지 후륜구동 모델의 산업부 인증 주행거리가 최대 475km 라고 밝혔다. 이는 19인치 타이어를 선택했을 때 기준이다. 아울러 19인치 타이어 롱레인지 사륜구동 모델의 인증치는 최대 441km, 스탠다드 후륜구동 모델은 최대 370

|21.06.10
like-count0
commnet-count0
view-count669
21.06.10